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삶은 달걀을 날달걀로 돌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약품을 넣은 삶은 달걀에서 여전히 덩어리가 진 흰자를 걸러 냈어요. 걸러져 나온 액체는 바로 익지 않은 흰자였답니다. 이 과정에 걸리는 시간은 고작 몇 분 정도였어요. 지금까지도 삶은 달걀을 날달걀로 바꾸려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어요. 그러나 달걀 1개를 바꾸는 데 4일이 넘게 걸렸지요.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황사 발생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대기 중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로 수치 예보 모델이다. 여기에 기상 자료를 대입해 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미래에 발생할 황사를 예측해 볼 수 있다.우리나라 기상청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학 모델은 황사예측모델‘ADAM2’로, 72시간 ...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음악 용어로 아무 것도 연주하지 말라는, 일종의 쉼표 같은 역할을 한다.태싯그룹은 바로 여기서 이름을 따온 미디어아트팀이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처럼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음악을 하겠다는 의미다. 전자음악 작곡가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테크놀로지과 장재호 교수와 이진원 작가는 ... ...
- [Knowledge] 뉴스룸-니버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땅 속을 들여다보면…, 이렇게 싹 말라버린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금 바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합니다.나사 앵커 SMAP 기자 덕분에 가뭄대책을 미리 세울 수 있겠군요. 농가에서 취수계획을 변경하거나 작물의 이식시기를 늦추는 식으로요. 그런데 신기하네요. 땅 속 수분을 볼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어려워진다. 노인성 치매에 사용하는 약물의 기전은 상당히 복잡하지만, 간단히 말하면 바로 이렇게 부족해진 콜린성 물질을 보충해주는 것이다.그런데 문득 이상한 생각이 든다. 나이가 들면 왜 굳이 성격이 변하고 인지 기능이 떨어질까. 젊을 때처럼 우수한 기능을 유지하면 안 될까. ‘늙었으니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향하는 “전 세계 최저가” 우주왕복항공권이 SNS를 타고 퍼졌다.기자도 완벽히 속았다. 바로 직전에 스페이스X에서 발표한 민간우주여행 콘셉트를 봤던 게 패착이었다. ‘티몬이 스페이스X보다 한 발 빨랐구나….’ 순간 기사거리를 놓쳤다는 생각에 아차 싶었을 정도였다. 그런데 이렇게 ‘낚인’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된다.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휘어진 시공간인 까닭은 바로 시간과 공간에서 평행선의 공리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이제 드디어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이 눈앞에 다가 오고 있었다. 과연 리만 기하학을 사용하면 등가원리를 잘 확립된 이론으로 끌어올릴 수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씌우자, 공전주기의 제곱이 궤도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바로 케플러의 제3법칙입니다. 케플러는 행성의 운동법칙에 관한 자신의 책을 존 네이피어에게 헌정합니다.마법의 모자, 로그비슷한 시기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도 간단한 계산법을 찾느라 열심이던 사람이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커질수록 거짓말도 늘었다영국의 한 인류학자가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잡았다. 바로 복잡한 사회관계망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로빈 던바 교수는 1993년 ‘현대인류학’에 “영장류의 무리 크기와 신피질 크기가 비례한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신피질은 대뇌 피질 중 가장 최근에 진화한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특이했다(60쪽). 우선 현대인의 ‘턱’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었다. 우리 인류의 입술 바로 아래를 만져보면 움푹 들어가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턱이다. 턱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보다 원시적인 종으로 갈수록 사라지는데(둥글납작함), 이 화석도 턱 부분이 둥글고 납작해 원시적이었다.반대로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