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각 수용체가 어떤 향기 분자와 결합하는지 볼 수 없어요. 문제 해결의 열쇠는 바로 ‘행렬의 곱셈’이랍니다.곱해서 [수용체-냄새 행렬]이 되는 행렬 2개를 찾으면 특정 향기를 내는 분자가 어느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는지 볼 수 있지요! 곱셈이 가능한 꼴의 행렬 가운데 제가 찾은 두 행렬은 이거예요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누구나 자유롭게 풀 수 있도록 게시해 놓았는데요. 가장 열심히 문제를 푸는 친구들이 바로 큐이디 학생들이랍니다.” _김하혜 수학선생님그동안 큐이디가 만든 잡지를 보니 비유클리드 기하학, 조화수처럼 관심 있는 소재를 가상인터뷰, 소설 패러디 같은 재미있는 방식으로 설명해 놓았다. 잡지를 ... ...
- [Knowledge] 펨토초 엑스선으로 본 세상, 분자가 결합하는 찰나를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깜빡이는 X선으로 분자 운동 포착이런 화학 반응의 비밀을 밝히고자 한 과학자가 있다. 바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아메드 즈웨일 교수다. 그는 1980년대 초, 당시 새로 개발된 펨토초레이저기술을 기체상 분자들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분야에 접목했다. 펨토초레이저는 약 10~50펨토초 간격으로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바뀌면 계절도 멋대로 바뀌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한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달이 없어지거나 지금보다 훨씬 작고 멀리 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위성이 없는 행성은 자전축이 중력 섭동에 의해 크게 바뀐다. 중력 섭동이란 한 행성이 다른 무거운 천체의 중력에 의해 조금씩 움직이는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매우 독특한 호흡시스템도 갖고 있다. 수각류 공룡에서는 기낭의 전조도 나타나는데, 바로 목뼈와 등척추 속에 있는 기공이다. 이런 기공들은 원시 수각류 공룡의 몸무게를 줄이는 역할을 했을 걸로 보인다. 더 진화된 작은 수각류에서는 조류와 더 유사한 기낭시스템이 발전했을 걸로 예상된다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발진시키기 전에 마지막으로 챙길 게 있다. 에바를 가 장 에바답게 만들어주는 것, 바로 AT필드(Absolute Terror Field)다. 눈에 보이진 않지만 어떤 공격도 막는 강력한 방어막. 만화에 비해 한참 못 미치긴 하지만, 올해 정말 이런 방어막이 개발됐다.3월 17일 미국 보잉사는 ‘전자기장 아크를 통한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단연 단맛입니다. ‘달다’라는 생각만 해도 기분 좋지요? 단 음식에 가장 많은 영양분은 바로 탄수화물입니다. 우리 몸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도 에너지로 쓰는 탄수화물이지요. 식품회사인 시아스의 최낙언 이사는 “단맛은 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맛”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러니 혀가 단맛에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데이터가 다니는 길을 넓혀 주는 방식으로 통신 속도를 빠르게 한 거죠. 이것이 바로 ‘Band LTE-A’ 기술이에요. 그 결과 이제 우리는 길거리를 다니면서도 스마트폰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볼 수 있게 되었지요.2020년이 되면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개수가 현재의 100억 개에서 240억 개로 늘어날 것으로 ...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어렸을 때 자신이 그랬었던 것처럼 보드라운 카펫에 볼을 살짝 대 보기도 했답니다. 바로 그 순간! 안드레이는 운명처럼 붉은숲개미를 만났지요.붉은숲개미는 거대한 안드레이에게는 아무 관심 없다는 듯이 열심히 어디론가 가고 있었어요. 우리가 평소 개미를 무관심하게 지나치듯이 말이에요.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감소하면서 생긴 에너지를 이용해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 폭탄을 만들기로 한 거죠. 바로 핵폭탄입니다. 여러 번의 실험 끝에, 폭탄은 완성됩니다.1945년 8월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인류 역사상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핵폭탄이 떨어집니다. 그 결과, 두 도시는 완전히 파괴됩니다. 이 소식을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