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뉴스
"
밀
"(으)로 총 417건 검색되었습니다.
中에서 제일 잘 나가는 ‘스타 과학자’ 10인
2016.06.24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유전자 가위의 최신 버전인 ‘크리스퍼 Cas9’을 이용해 쌀과
밀
등 작물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주목받았다. 푸차오메이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및고인류연구소 고대DNA연구실장은 고인류의 게놈을 분석해 유럽 현생 인류의 기원을 밝혔으며 현재는 아시아 ... ...
뇌 신경망 그대로 모방한 인공 시냅스 소자 나왔다
2016.06.18
모사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생체를 모방한 시스템의 난제였던 메모리
밀
도와 소비 전력을 크게 개선한 만큼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자매지 ‘사이언스 어드밴스’ 17일자에 실렸다.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텔레파시스트’되는 가장 현명한 방법
2016.06.12
등에선 무공이 뛰어난 사람이 남 몰래 먼 거리에서 대화를 주고 받는 수법인 ‘전음입
밀
’로 묘사되기도 한다. 현실에서 텔레파시를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는 과학적으로는 거의 다 거짓인 걸로 밝혀지고 있지만, 아직도 쌍둥이나 특수 감응능력을 가진 사람끼리는 과학적으로 ... ...
[Health&Beauty]재활로봇으로 집에서도 마비된 손발 치료한다
동아일보
l
2016.05.11
사람을 위해 밥을 떠 먹여주는 로봇도 눈길을 끕니다. NT메디의 식사보조 로봇 케어
밀
(CareMeal)은 로봇이 음식을 떠서 입까지 전달해 주기 때문에 양팔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식사할 수 있습니다. 중증 장애인에게 직접적인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이 제품은 원하는 시간에 ... ...
고온 초전도체 30년 미스터리 풀렸다
2016.04.14
초전도체로 바꿨다. 그 결과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전자쌍이 물결 모양을 이루며 일정한
밀
도 차를 보이며 분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고온 초전도체는 일반적인 초전도체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아 과학자들이 대거 뛰어들었지만 사실상 30년째 제자리였다”며 “앞으로 더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
2016.03.29
하는 테러리스트 중에도 자기 집단 사람들에 대해 공감능력, 충성심이 강하고 우리 패
밀
리를 위해 내 이 한 목숨 희생하겠다고 하는 경우들이 꽤 있을 듯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개인들의 ‘공감능력’과 ‘원만성’만 키우면 세상에 평화가 올 것이다-라고 하는 건 다소 나이브한 생각이라는 게 ... ...
“지층
밀
도 높을수록 지진 규모 커”
2016.03.03
동일본 대지진의 경우, 붕괴 지역은 이들의 5분의 1~4분의 1 밖에 되지 않지만 지질층이
밀
린 거리는 30~70m 정도로 길었다. 이번 연구는 이 차이를 만드는데 관련된 지질학적 특성을 규명한 첫 사례이다. 연구팀은 “단층의 지질구조가 지진 양상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게 ... ...
[토요일에 만난 사람]“징그럽게 생겼다고요? 곤충이 90억 인류의 미래”
동아일보
l
2016.02.27
아예 손을 대지 않는 것도 예의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그나마 가장 무난해 보이는
밀
웜을 집어 들었다. 몇 차례 주저한 끝에 입에 넣었다. 언제라도 되살아나 다시 꿈틀거릴 것만 같은 애벌레를 손끝으로 잡고 입으로 넣는 그 순간까지가 힘들었을 뿐이다. 막상 입에 넣고 씹으니 말린 새우와 ... ...
영화 ‘마션’처럼 화성에서 감자 키울 수 있을까
2016.02.24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양을 재배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감자는 옥수수,
밀
, 쌀에 이어 전 세계에서 4번째로 영향력이 큰 식량 작물로 꼽힌다. 탄수화물이 풍부한 감자는 철분, 아연, 비타민C 등 영앙가도 많다. 이런 장점 때문에 중국은 최근 대대적으로 감자 생산량을 늘리고 주식(主食 ... ...
보건당국, 지카바이러스 유입 대비 ‘모기방제’ 대책 수립
포커스뉴스
l
2016.02.17
감시 강화를 위해 현재 운영중인 11개 거점센터 외에 추가로 전국 단위 감염병 매개체
밀
도 및 분포 감시망을 강화해 지카바이러스를 포함한 플라비바이러스 5종의 매개 모기를 감시키로 했다. 또 흰줄숲모기에 대한 동절기 조사 등을 통해 매개체에 대한 생태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