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등 쪽으로 동그랗게 말려 있는 것도 불도그와 다른 특징이랍니다.머리는 몸에 비해 큰 편이에요. 눌린 듯한 머리 모양 때문에 라틴어로 ‘도끼’라는 뜻의 단어인 ‘퍼그’로 불리게 되었지요. 동그랗고 반짝이는 두 눈으로 짓는 안쓰러운 표정이 특유의 매력이랍니다.퍼그는 온도 변화에 대한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생긴 ‘새코미꾸리’를 만났어요. 화가 나면 가시를 세우는 커다란 ‘검은눈동자개’도 큰 관심을 끌었답니다.공릉천과 왕숙천은 둘 다 경기 북부에서 시작돼 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이지만 각 하천이 지나가는 지역이 파주, 일산 일대와 포천, 남양주 일대로 멀리 떨어져 있어요. 또 탐사를 ... ...
- [과학뉴스] 쌀쌀할 때 심장마비 조심 “영하에서 4건 더 발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일교차, 일조시간, 신체활동량 변화, 독감 등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역시 낮은 외부 온도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이비드 얼링 스웨덴 룬드대 의대 순환기내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1998년부터 2013년까지 16년 동안 국가 심근경색질환 기록에 등록된 28만873건의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주며 ‘해양 생물 마니아’로 통하던 최윤형 군(전북대 사대부고 3학년)은 어른 팔뚝만큼 큰 해삼을 해부하며 진땀을 흘렸다. 그러면서도 “연구단에 3년 동안 계속 도전해 결국 합류하게 됐다”며 “벌써 해양생물학자가 된 것처럼 지금 이 순간이 너무 행복하다”고 말했다. 해양 과학자들과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투자를 유치하는 과정에서 교내 기술창업혁신센터로부터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DGIST 학부생은 동서양철학, 예술사, 비교역사학 등 인문학과, 악기와 태권도 등 예체능 과목도 수강하면서 융·복합 인재로 거듭나고 있다. 최 씨는 “회사대표가 자신만의 철학을 갖고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세대 패키징학과 교수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식품포장용 플라스틱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할 만큼 독성이 없고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공정과정에서 원료 아닌 화학물질 포함 가능성도 일회용 생리대의 층별 소재 가운데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성분이 있을까. 일회용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급하는 제도도 있어 연구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하네요. 주변 경관도 ICTP의 큰 장점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트리에스테는 유럽 물류의 중심지로 꼽히는 유명한 항구 도시입니다. 연구소에서 10분 거리에 바르콜라라고 하는 해변 공원이 있어서 아드리아해의 풍경을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고 말했다. TV 얇아지면 전원 공급 장치도 작아져야전력을 제어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외부에서 교류(AC) 방식으로 들어온 전기를 가정에서는 직류(DC)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먼 거리에서는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송전탑을 따라 고전압으로 전류를 흘려보내는데, 변압기를 사용해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하우스도르프의 이름을 딴 이 메달은 최근 5년 사이에 나온 논문 가운데 집합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논문을 쓴 연구자에게 준다. 이밖에 ‘유한차원에서만 정의하고 풀 수 있었던 방정식을 무한차원에서도 풀 수 있는지’, ‘무한호텔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와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짧으면 그렇지 않아. 그러니 남성화장실이 한산하다면 일부를 여성화장실에 떼어줘도 큰 문제는 안 되겠네. 어떻게 나눠야 공평할까? 그러면 남녀 변기 수를 몇 대 몇으로 해야 할까? 2006년에 우리나라는 공중화장실에서 여성화장실의 대변기가 남성화장실의 대·소변기보다 같거나 많아야 하며,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