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파괴하기 위해서는 5~10MW의 출력이 필요하다. 물론 건물을 파괴하려면 그것보다 10배 이상
큰
100MW급 레이저가 필요할 것이다.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순간 발전량이 1000MW 정도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에너지다. 하지만 슈퍼맨처럼 눈이라는 작은 면적에서 고출력 레이저를 발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것입니다. 개인 참여자의 합리성은 필요없어진 가정입니다. 이런 가정에서 보상이 가장
큰
전략을 찾습니다. 진화 게임이론에서 한 집단이 다같이 어떤 전략을 쓰고 있을 때, 새로운 전략으로 기존 전략을 바꾸지 못한다면 원래 전략을 진화적으로 안정하다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앞서 말한 원숭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이 방법은 n개 도시를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의 모든 경우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외판원 문제가 이론적으로 ‘NP-완전’이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최소 비용으로 여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지요. 효율적인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만든답니다.◀ 아프리카 수단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어 항아리의 모습.지어 항아리는
큰
항아리 안에 작은 항아리가 들어 있는 구조예요. 두 항아리 사이에는 흙이 채워져 있지요. 이 흙에 물을 부으면 흙 속의 물이 작은 항아리의 열을 흡수하면서 수증기가 되어 바깥쪽 항아리의 작은 기공들을 통해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또 그 불씨를 키운 건 무엇이었을까요?건조한 봄철, 사람의 실수가
큰
불 부른다이렇게
큰
피해를 일으킨 산불은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놀랍게도 모두 사람의 실수 때문인 것으로 보여요. 강릉과 삼척은 등산객의 실수로, 그리고 상주는 농작물을 태우다가 산으로 불이 옮겨 붙은 것으로 추정되고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정도”라며 “하지만
큰
결실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재
큰
결실이 있었는지를 추가로 확인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란에 대해 김진수 단장은 “과학 연구에 있어 의문점을 제기하고, 추가 연구와 실험을 통해 의문을 해결하는 과정은 매우 흔하고 자연스럽다”며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생한 기포가 압력이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면 다시 액체로 돌아가려 하는데, 이때
큰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는 프로펠러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프로펠러의 표면을 침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박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공동 현상은 이런 공동 현상이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의 1밖에 안 되는 화성의 척박한 환경이 탐사대원의 건강과 대원들 사이의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맞춰 탐사대원들의 미션도 정해졌다. 5년간 미션은 매번 달라졌다. 올해는 화성에 체류하는 동안 개인이 겪을 수 있는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자시계 모델로 대표되는 ‘일주기 생물학’은 궁극적으로 우리 건강과 양질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생체시계 국제학회에 참석할 때마다 필자는 70세가 넘은 나이에도 현역 과학자로서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는 로스배시 교수와 영 교수를 마주친다. 이들의 학회 발표와 연구 논문,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로이트 프랑스 리옹신경과학연구센터 박사팀이 의학상을 받았고, 나이 든 남자의 귀가
큰
이유를 연구한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히스콧 박사는 해부학상을 받았다. 일란성 쌍둥이가 멀리서도 각자의 사진을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낸 마테오 마티니 영국 이스트런던대 교수팀은 인지(cognition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