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한국 첫 '대변 은행' 가보니…"미생물로 병 고쳐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26
고친다 ●국내 최초 대변 은행에 방문하다 "이게 다 대변이라고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대변 은행에 들어서자마자 입이 떡 벌어졌습니다. 냉동고 안에 갈색 액체가 담긴 통 수천 개가 늘어서 있었기 때문입니다. 대변 은행은 건강한 사람의 대변을 보관하는 곳입니다. 대변 속의 장내 ... ...
AI '딥시크'는 시작에 불과…中 과학굴기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5.04.26
패권 다툼 확대로 중국의 해외 공동연구가 위축돼도 최상위급 학술 성과를 유지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중국에선 대규모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다. 사진은 중국에서 건설 중인 중성미자 검출기 JUNO 전경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이 검출기는 올해 하반기부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을 직면해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
2025.04.26
것들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잃을 것이 많기 때문에 잃는 순간에는 누구보다도
큰
아픔을 겪게 될 수도 있다. 기쁨과 고통은 보통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많은 공을 들여 간절하게 바래온 일일수록 실패가 쓰라린 법이고 누군가를 사랑할수록 그 사람과의 헤어짐이 아픈 법이다. ... ...
거미줄에서 '희생자 뼈' 몸에 붙이는 기괴한 육식성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했다. 연구팀은 "야생에서 한 거미줄 당 하나의 애벌레만 있는 경우가 많다"며 "더
큰
개체가 작은 개체를 잡아먹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애벌레는 몸에 붙일 곤충 신체 부위를 세심하게 골라 정교하게 배치한다"며 "거미에게 발견되지 않기 위한 위장술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유전자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을 직면해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
2025.04.26
것들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잃을 것이 많기 때문에 잃는 순간에는 누구보다도
큰
아픔을 겪게 될 수도 있다. 기쁨과 고통은 보통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오랜 기간 많은 공을 들여 간절하게 바래온 일일수록 실패가 쓰라린 법이고 누군가를 사랑할수록 그 사람과의 헤어짐이 아픈 법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조기 대선 집어삼킨 AI 공약 현실적인가
2025.04.23
개발해서 '인공지능 주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공약이 그럴듯해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은
큰
의미를 찾기 어려운 억지다. 우리 정서에 맞는 답을 제공하는 능력이 인공지능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중국이 개발했다는 딥시크처럼 오픈소스를 적극적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작은 소용돌이가 일으키는 '나비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9
지구에서 해양 에너지, 해양 생태계, 날씨와 기후 등 해양 순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SWOT 위성이 전세계 해양 관측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며 "준중규모 해양 역학은 지구 기후 시스템의 중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5-087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고통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2025.04.19
해서 바라본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러한 인간화가 우리 집단이 타 집단보다 더
큰
피해를 봤다고 하는 '경쟁적 피해의식' 또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나 민족 단위의 사람들이 겪은 과거의 트라우마에 대해 시간이 지났으니 그만 잊으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을 종종 본다. 과거의 상처가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이야기로 냠냠!어수잼] 땅굴 이웃 주민 생쥐가 찾아왔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8호
그때, 땅굴 이웃 주민인 생쥐가 더지니를 찾아왔어요.“몸집이 작다고 놀림을 받아서 슬퍼요…. 덩치가 가장
큰
생쥐가 되고 싶어요!”생쥐의 소원을 들은 더지니는 고민 해결 방울이 있는 방으로 갔어요. ...
[이달의 과학사] 윌버 라이트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글라이더 비행에 성공했지요. 하지만 글라이더가 자유롭게 날기 위해선 바람보다 더
큰
힘이 필요했어요. 라이트 형제는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비행기에 관심을 두기 시작합니다. 라이트 형제는 나무로 만든 뼈대에 천으로 된 날개를 붙여 플라이어 1호를 발명했어요. 그리고 1903년 12월 17일, 첫 ... ...
[통합과학 교과서] 급하다 급해! 어린 왕자의 S.O.S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큰
편에 속합니다. 오줌이 배설되는 구멍의 크기가 다른 곤충보다 커서, 물방울보다
큰
물줄기의 형태로 배설할 수 있어요. 사드 밤라 교수는 “동물이 어떻게 소변을 보는지 탐구하면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계를 설계할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에필로그“휴, 꿀록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나도 모르게 스며드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고정관념이 생기기 쉬워요. 예를 들어 세계 최초로 유튜브 100억 조회수를 달성했을 만큼
큰
인기를 끈 동요 속 캐릭터를 떠올려 보세요. 할머니, 엄마, 딸 상어는 모두 분홍색이나 노란색 계열이고, 아빠, 할아버지, 아들 상어는 모두 파란색이나 검은색 계열이에요. 색깔과 성별은 아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사
l
20250424
두 번째 모형은 바로 아리랑 위성 7호의 카메라 모델이었는데요, 실제로는 1톤이 넘는 무게라고 합니다. 그래서 굉장히
큰
위성에 속합니다. 해상도는 30cm입니다. 정말 자세히 찍을 수 있는 정도입니다. 초고의 강도이네요. 또한 우리나라의 기술로 거의 다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 카메라의 장점은 아까의 인공위성과 마찬가지로 넓게 찍을 수 있 ...
우주로 날아가는 대한민국의 꿈!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우주 비밀을 알아봤어요
기사
l
20250423
예정이에요.” 연구원 선생님께서 손가락으로 가리키신 것은 카메라가 달린 커다란 위성이었어요. 아리랑 7호는 무게가 1톤이 넘는
큰
인공위성이에요. 사진을 찍을 때 픽셀이 많을수록 해상도가 좋아지는 것처럼, 이 위성도 30cm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서 우주에서도 자동차의 종류까지 구분할 수 있다고 해요. 드론으로도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인공위성 ...
꺄아아아ㅏㄱ!!!!!바퀴벌레에엑!!!!!!
포스팅
l
20250422
흐어ㅓㅓ어 방에 있다가 엄마가 소리지르시길래(?) 나와봤는데 주방 벽에 겁나
큰
바퀴벌레가 붙어있었어요!!!! 근데 또 아빠가 잡으시려다가 바닥에 떨어져서 사라졌다는…저 이제부터 소파에서 살 거예요(??) 흐에에ㅇ ...
부안 누에타운
기사
l
20250420
있습니다. 3.전시관 전시관에는 개구리가 있습니다. 청개구리도 있었습니다. 여기 황소개구리도 있었는데 황소개구리가 이렇게
큰
줄 몰랐습니다. 그리고 여기 있는 곤충 표본들은 모두 진짜라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누에의 일생 영상이 있습니다. 누에가 알에서 1,2,3,4,5령누에를 거쳐서 누에고치가 되고 누에 성충이 되는 과정이 신기했습니다. ...
맞분합니당
포스팅
l
20250419
약간 좀아포여고생?느낌 캐입니단 한창 좀아포 빠졌을때만든캐입니다캐는 한 4월 23일?까지 받을게욘 캐릭터 받고 한번쯤은 그려주시면정말매우감사하겠습니다 그랜절을박을게요캐취향은 좀 ㅁㅊ놈좋와해용 가짜광기캐도좋고 진짜광기캐 ... 전기톱이 약간 이칭구
큰
특징이라 전기톱은 안바꿔주시면매우개
큰
감사를드립니다+)캐디수정ㄱㄴ해요 출처남겨주시면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