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사람을 따돌린 겁니다. 사실 무리가 커지면 이득의 규모도 커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더
큰
무리를 이루려고 애를 씁니다. 문제는 많은 경우 협조가 아니라 작은 무리나 개인을 괴롭혀 탈취한다는 거지요. 김 교수는 “경쟁사회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얻는 이득이 지나치게 크면 소외되는 집단 혹은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등 쪽으로 동그랗게 말려 있는 것도 불도그와 다른 특징이랍니다.머리는 몸에 비해
큰
편이에요. 눌린 듯한 머리 모양 때문에 라틴어로 ‘도끼’라는 뜻의 단어인 ‘퍼그’로 불리게 되었지요. 동그랗고 반짝이는 두 눈으로 짓는 안쓰러운 표정이 특유의 매력이랍니다.퍼그는 온도 변화에 대한 ... ...
[스미스의 탐구생활 4화] 지구와 달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오기도 하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가 수시로 바뀌기도 하죠. 기상 현상은 사람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날씨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건 아주 중요해요.날씨 예측은 과거의 날씨를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해요. 수십 년 동안 쌓인 날씨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날씨를 예측하는 거죠. 이처럼 ... ...
[식물 속 동물 찾기] 매의 발톱을 가진 매발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노리는 매서운 눈빛과 뾰족한 발톱. ‘하늘의 제왕’이라 불리는 매의 가장
큰
특징이에요. 그런데 5~7월, 땅에도 뾰족한 매발톱이 나타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5월쯤 땅에서는 봄을 대표하는 꽃인 매발톱꽃이 피기 시작해요. 가지 끝에서 피기 시작한 꽃은 자랄수록 아래쪽을 향해 꽃잎을 펼치지요. ... ...
[과학뉴스] 플라밍고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카자흐스탄과 서남아시아 인도 등으로 모두 5000km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큰
홍학이 이동 중 무리를 벗어나 길을 잃고 우리나라에 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토성에 도착하고 6개월 뒤 호이겐스는 카시니에서 분리됐고, 2005년 1월 14일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Titan)’에 착륙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이 화성 궤도 너머에 착륙한 건 이때가 처음이었다. 지름이 달의 1.5배 정도인 타이탄은 태양계 위성 중에서 두껍고 짙은 대기를 가진 유일한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주며 ‘해양 생물 마니아’로 통하던 최윤형 군(전북대 사대부고 3학년)은 어른 팔뚝만큼
큰
해삼을 해부하며 진땀을 흘렸다. 그러면서도 “연구단에 3년 동안 계속 도전해 결국 합류하게 됐다”며 “벌써 해양생물학자가 된 것처럼 지금 이 순간이 너무 행복하다”고 말했다. 해양 과학자들과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농도에 비례해 위해성이 커지는 게 아니다”라며 “저농도일 때 인체에 위해성이 더
큰
환경호르몬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들어와 실제 대사과정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는 개인별로도 천차만별”이라고 말했다. 여성 외음부에 쓰는 제품은 인체 위해성이 아니라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과학동아’의 젊은 독자들에게 “빅 히스토리를 통해 인류가 향후 50년 동안 직면할
큰
도전을 알아채고, 이를 해결하려면 전세계인이 함께 일해야 한다는 점도 깨닫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인이나 미국인, 중국인 또는 러시아인이 별도로 일해서는 인류가 직면한 전지구적 문제가 풀리지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짧으면 그렇지 않아. 그러니 남성화장실이 한산하다면 일부를 여성화장실에 떼어줘도
큰
문제는 안 되겠네. 어떻게 나눠야 공평할까? 그러면 남녀 변기 수를 몇 대 몇으로 해야 할까? 2006년에 우리나라는 공중화장실에서 여성화장실의 대변기가 남성화장실의 대·소변기보다 같거나 많아야 하며,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