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상태를 유지하는 터널을 건설하는 일이다. 수십 m2 단면적에 수백~수천 km 거리에 이르는
큰
터널을 0.001기압 수준의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하이퍼루프원은 철제 터널을 만든 뒤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시험 주행 트랙을 만들었다. 현재까지는 이 방식이 터널 건설에서는 가장 ... ...
[수학뉴스] 흑백 사진 속 색깔 찾아주는 인공지능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게다가 사람들이 흔히 떠올리는 색을 탈피한 작품도 만들 수 있었어요. 교수팀은 용량이
큰
이미지를 무리 없이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이 콘볼루션 신경망이 이미지 산업에 널리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무슨 일이 벌어지기만을 기다렸다.마침내 마고의 본체가 있는
큰
방 안으로 들어갔다. 아이들은 사진을 찍고 난리였다. 하림은 이제부터 뭐가 어떻게 되려는지 긴장이 돼서 견딜 수가 없었다.그때였다.전화벨이 울렸다. 웃는 얼굴로 아이들을 지켜보고 있던 조우진이 전화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마리아나 해구 역시 각각 대륙지각과 해양지각 위에 존재하지요. 이들의 높낮이는 매우
큰
수치처럼 보이지만, 지구의 반지름인 약 6400km에 비해서는 극히 일부에 불과해요. 그래서 우주에서 지구를 보면 그저 둥근 모양으로 보인답니다.인류는 아직 핵은 물론 지각 바로 밑에 있는 맨틀조차 가 본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올해 8월 일정을 2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달 궤도선 개발 기간이 연장된 가장
큰
이유는 경량화 설계에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됐기 때문이다. 목표 중량은 550kg이었으나 설계과정에서 약 100kg이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최석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장은 “궤도선을 지구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대한 롤모델의 존재는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중·고등학생에게
큰
영향을 주는 과학교과서에조차 여성과학기술인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노태희 서울대 화학교육과 교수팀이 2014년 대한화학회지 제58권 제2호에 발표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건 비슷하다”고 말했다. 박 선임연구원은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문제로 구시대적인 조직 문화를 꼽았다. 늦게까지 야근해야만 열심히 한다고 보는 인식, 출산·육아 휴직 등 있는 제도조차 마음 편히 쓸 수 없게 하는 분위기가 남아 있다는 얘기다. 그는 과거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아주 중요한 주제입니다. ‘배아세포가 어떻게 특정 세포로 분화하는가’라는 발생학의
큰
질문이, 다르게 말하면 ‘어떻게 점점 발달 잠재력을 잃는가’라는 얘기와 같기때문입니다. 발생학자들은 세포의 다양한 분화 과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하는 두 가지 목표, 즉 인성을 올바르게 키우면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명상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는 2016년 한국아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공개됐다. 필자는 김재문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기영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현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등과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노명일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연구실은 진정한 ‘배 덕후(마니아)’의 방이었다. 요트부터 잠수함까지 각양각색의 배 모형들이 연구실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노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직접 배 만드는 걸 좋아했다”며 “배는 용도에 따라 모양이 다양해 조립하는 재미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