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상도로 구조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다. NMR은 50kDa 이상인 비교적 큰 분자의 구조 정보는 규명하기 매우 어려워 작은 단백질 분석에만 쓰인다. kDa(킬로달톤)Da는 달톤이라 부르며 원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다. 탄소원자 질량을 12로 나눈 값을 1Da로 정의한다. k는 1000을 뜻한다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밝혔다. 연구팀은 현재 폐디스토마, 간디스토마, 편충, 회충, 요코가와흡충, 참굴큰입흡충 등 기생충 9종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서 교수는 “십이지장에 사는 구충은 알의 껍질이 얇아 미라에서 단 한 차례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조선시대 조상들의 질병은 상당 부분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안개 때문에 도로에서 다중추돌 사고가 났습니다. 아직도 그 꿈을 가끔 꿉니다. 꽤 큰 사고였어요.” 내가 대답했다.“저는 아이와 아내를 잃었습니다.”프로스페로가 말했다.“각성했을 때의 사고로요?” 내가 묻자 그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가 실제로는 몇 살일지 궁금했다. 직업은 뭐였을까?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유한한데 끝이 없고 양면인 곡면이 있다?!위상적으로 같은 곡면 조각을 이어 붙여서 큰 곡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 조각을 이어 붙이는 방법은 무한히 많고, 쓸 수 있는 조각 자체가 무한히 많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곡면의 성질도 다양 합니다. 무한히 많은 조각을 이어 붙여서 곡면을 ...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어 붙여 만들어요. 다리나 건축물 등에 널리 쓰이는 구조로 쓰는 재료의 양에 비해 큰 무게를 견딜 수 있습니다. 거대로봇 대결! 승자는?미국 기업 메가보츠는 최근 자신들의 기존 거대로봇 ‘마크-2’를 개량한 ‘이글 프라임(마크-3)’을 발표했어요. 이 로봇은 격투 로봇이에요. 메가보츠의 ... ...
- [핫이슈] 내가 진짜 최강! 드론 레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음 대회에서는 꼭 1등을 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어요.윤우 친구는 대회에 가장 큰 도움을 주신 분으로 어머니를 꼽았어요. 드론을 좋아하는 윤우 친구를 위해 이번 대회도 어머니께서 직접 신청해 주셨거든요. 윤우 친구는 “어머니께 정말 감사드린다”고 말했답니다.#이번 대회에 참가한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화진화를 위해 헬기 59대와 인력 9300여 명이 투입됐어요. 헬기로 공중에서 물을 뿌려 큰 불을 잡고, 소방대원과 군 장병들을 비롯한 수 많은 사람들이 잔불들을 하나씩 잡아나갔어요. 점차 불길이 사그라 지면서 경북 상주는 7일 오전, 강릉은 발생 27시간 만인 7일 오후에 완전히 진화됐다고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태양 흑점도 없고, B급 이상의 플레어도 없네요. 태양에서 날아오는 입자 수도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편이어서 오늘 우주 날씨는 전반적으로 괜찮습니다. 다만 오전 7시경부터 태양 입자 수가 조금씩 늘고 있어 향후 며칠간 주의해서 지켜봐야 합니다.” 10월 11일 오후 3시 대전 한국천문연구원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왜행성 ‘세레스(Ceres)’에 한글 지명이 붙은 것으로 확인됐다. 왜행성의 지명이 한글로 명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8월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세레스에서 발견된 크레이터 13개의 지명을 공식 승인했다”고 밝혔다. 13개에는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의 1971년 알래스카 핵실험을 예로 들었다. 규모 7.0의 인공지진을 일으킬 정도로 큰 핵실험이었지만 인근 해저에 있는 화산 중 어느 것도 분화하지 않았다. 그는 “핵실험이 화산 분화를 일으킬지 모른다는 걱정보다는, 함몰지진을 야기한 핵무기 자체가 더 걱정스러운 문제”라고 말했다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