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통적인 육종 방법으로 씨가 작은 품종을 만들고 있어요. 씨가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우성 ●형질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예요.●형질 : 생물체가 가지는 모양이나 성질을 일컫는 말.수박은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를 늘 한 쌍씩 가지는데, 이때 한 쌍에 속한 두 개의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뒤 아무데나 놓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어라운드가 오가며 수거해줘 직원들 입장에서는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서점 한쪽에서는 책을 가득 실은 카트를 직원이 끌고 가고 있다. 한눈에 봐도 카트가 꽤 무거워 보이는데 직원의 표정은 편안했다. 일반 카트가 아니라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술은 이렇게 삶을 안전하고 윤택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어떤 이들에게는 크나큰 감동과 보람을 선사하기도 한다. 현재 연구팀은 나이변환 기술의 정확도를 올리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또 해상도가 낮은 CCTV 영상을 선명하게 만드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세월에 따라 변하는 얼굴은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949년 BBC 라디오에 출연해 “이 이론은 우주의 모든 물질이 특정 시간에 단 한 번의 큰 폭발(big bang)로 형성됐다는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고 폄하한 데서 나왔다. 빅뱅 우주론의 지지자였던 호킹은 초록을 통해 논문에서 다룰 네 가지 주제를 언급했다. 첫 번째는 정상상태 우주론을 주장하는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제약도 있다. 슈투트가르트에 있는 2개 연구소는 막스플랑크연구소 중 3위안에 드는 큰 규모를 자랑한다. 개별 연구소는 최대 8개 연구단으로 구성된다. 연구단은 연구 주제에 따라 소규모 연구그룹으로 나뉘고, 연구 그룹은 그룹장, 박사후연구원, 박사과정 학생 등 적게는 20명, 많게는 50명으로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탈바꿈했습니다. 금강산도 식후경이겠죠. 미니애폴리스에는 미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쇼핑몰인 ‘몰 오브 아메리카’가 있는데요. 쇼핑외에 맛집 탐방도 추천합니다. 피자, 베트남 음식, 페이스트리 등 국적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양조장도 미국에서 인구 수 대비 가장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이 우리 생활에서 점차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기술 간의 융합과 창의적인 발상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대다. 예를 들면 필자가 연구하는 드론은 전자공학과 항공공학 간의 이해와 융합이 필요하고, 다른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했다. 원자로 안전은 핵분열 연쇄반응 속도 제어가 핵심얼핏 생각하면 에너지가 큰 중성자가 핵분열 반응을 잘 일으킬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비실비실’한 중성자가 핵과 오래 반응해 분열 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수식으로 나타내자면, 핵분열 반응이 일어날 확률은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특히 현실에 기초한 길이나 넓이, 부피 같은 개념을 제대로 정의하지 않았다는 게 가장 큰 불만이었다. 그는 ‘측도 이론’에 흥미를 느꼈는데, 이 이론은 수십 년 전에 ‘르베그측도와 적분 이론’이라는 이름으로 완성돼 있었다. 하지만 그로텐디크는 그 사실을 모른 채 혼자 힘으로 이를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서탑이 미륵사지 석탑이다. 기자가 방문했을 때에는 오른쪽에 탑이 보이고, 왼쪽에는 큰 가건물이 보였다. 오른쪽에 있는 동탑은 미륵사지 석탑을 참고해 복원한 것으로 1992년에 완성됐다. 김 연구사는 “동탑은 복원한 지 25년이 지났지만, 원래의 석재★를 거의 활용하지 못해 문화재 같은 ... ...
이전3253263273283293303313323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