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식
영양물
양식
식량
식료품
식사
식품
d라이브러리
"
음식물
"(으)로 총 5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02
강아지의 반사작용을 관찰한 결과, 전기쇼크라는 부정적 자극에도 불구하고 강아지는
음식물
을 기대하고 반사적으로 침을 분비했다.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자극도 긍정적인 자극의 한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셈이다.위와 같은 근거에 바탕을 두고 러시아의 산부인과 ... ...
식중독 단백질로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0001
생쥐의 음식섭취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근육의 약화로 위에
음식물
이 오래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생쥐의 체중은 3주 후 별다른 부작용 없이 14%가 감소했다. 그러나 70일이 지난 후에는 다시 식욕을 회복해 체중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는 독소단백질의 활성이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01
깊숙한 공간감을 부여하고 있으며 앞으로 돌출한 식탁 위에 놓여진 각종 그릇이나
음식물
조차 마치 우리 눈앞에 펼쳐진 현실을 보는 것과 같은 실재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최후의 만찬자리에서 예수가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충격적인 말에 놀란 제자들의 소란과 동요가 그룹을 형성하고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12
흡수를 방해하므로 설사가 일어난다. 반대로 장의 연동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음식물
이 장내에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고, 빠르게 지나가므로 소화와 흡수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해 대변의 양과 수분함유량이 증가돼 설사가 일어난다. 수인성 전염병에 의한 설사나 식중독에 의한 설사는 장내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11
그때그때 잡아서 먹어왔다. 자연 자체가 저장고 역할을 하게 돼 특별한 방법으로
음식물
을 저장할 필요가 없고, 그럴 수도 없다. 따라서 채식 위주의 음식문화를 갖는 열대지방 사람들처럼 잉여 생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부의 축적 또한 큰 의미가 없다. 물론 이동식 농경생활을 ... ...
의학혁명 일으킨 방사선
과학동아
l
199910
역할을 함)를 뚫지 못할 정도로 약하다. 하지만 알파선을 내는 미세한 방사성물질이
음식물
이나 호흡기관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면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와 생명의 비밀을 간직한 DNA를 파괴한다. 방사선은 많이 쐴 경우에 생명을 잃는다. 또 DNA를 파괴해 2세에게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무서운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되찾아 준다.소화제소화제 성분의 대부분은 제산제다. 위벽에서 분비되는 위산(염산)은
음식물
에 들어있는 미생물을 죽이고 단백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위산이 너무 많이 분비되면 속이 불편해지고 위에 통증이 생긴다. 소화가 안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럴 때 탄산수소나트륨,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09
문제가 똥배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복근에 있다. 사람의 위와 장은 매우 탄력적이어서
음식물
이 들어가거나 가스가 차면 쉽게 늘어난다. 이것을 복근이 눌러줘야하는데 운동을 안하면 자연스럽게 복근이 약해져 내장기관이 늘어나는 것을 막아주지 못한다. 흔히 출산후에 똥배가 더 나오게 됐다고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08
표지판의 색깔은 유용한 정보를 전해주는 동시에 위험도 막아준다. 심지어 우리가 먹는
음식물
도 그 색깔에 따라 맛이 다르게느껴진다. 뿐만 아니라 색깔은 그림이나 조각과 같은 예술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요소다.색깔을 이용한 역사는 아주 오래됐다. 프랑스의 라스코동굴에는 기원전 1만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07
에볼라 바이러스(1977), 한국에서 처음 분리된 유행성출혈열의 한탄 바이러스(1977),
음식물
로 전파되는 간염 E(1988)와 혈액으로 전파되는 간염 C 바이러스(1989), 최근 미주를 경악시키고 있는 출혈성 병원체인 신 놈브레 바이러스(1993)가 있다.되돌아온 기존 바이러스 질환 중에는 뎅기열과 황열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