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고유
특수
독특
특이
특권
d라이브러리
"
특유
"(으)로 총 596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한 곡이다.존은 한국어 발음이 정확하진 않지만 오디오에 외국인
특유
의 어조와 발음을 고려하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이 장착돼 있어 이용에 큰 무리가 없다. 지금 듣는 음악파일은 두 개의 스피커로 듣는 스테레오 2.0 타입이지만 존은 이를 주파수별로 음원을 분리해 스테레오 ... ...
판다는 원래 ‘육식성’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섬유질을 소화시키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의외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특유
의 고기 맛인 ‘우아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T1R1 유전자가 염기서열에 포함돼 있었다. 연구진은 이와 함께 판다가 포유류 가운데 개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베이징유전체연구소의 왕준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네이처 포토닉스’에 주목할 만한 연구로 소개됐다. 연구단은 앞으로도 광결정에 유체
특유
의 유연한 특성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광자유체집적소자를 만드는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천하의 영재들과 함께하는 게 가장 큰 기쁨”지난 2년 동안 양승만 교수는 유난히 상복이 많았다.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❷ 예쁜 무늬 | 나무 줄기는 여름과 봄에 각기 다른 속도로 자라며 색도 다르다. 그래서
특유
의 아름다운 색과 무늬를 띠고 있다.❸ 맑은 소리 | 나무는 *공명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나무로 지은 집에서는 소리가 맑다. 단, 바닥이나 벽에 부딪힐 때 나는 소음도 다른 재료보다 더 잘 전달된다는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런 분해과정을 뜻한다. 이때 홍어의 몸속에 있던 요소가 암모니아로 분해되면서 홍어
특유
의 자극적인 맛과 냄새를 만들어낸다. 가끔씩 공중 화장실 중에서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역한 냄새를 풍기는 곳을 볼 수 있다. 이런 화장실의 소변기는 대부분 누런 오줌 때로 덮여 있다. 오줌 때는 오줌 속에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걱정 마세요. 이번 항해는 순조로울 것 같으니.”전화 너머로 긴장과 기대가 섞여 있는
특유
의 웃음소리가 들려왔다. 마치 오랫동안 떨어져 있어야 할 연인을 안심시키듯 그는 밝은 목소리로 한참을 떠들었다. 항해를 함께 떠날 지준명 선장도 옆에서 “바람도 좋고, 파도도 맘에 든다”며 목소리를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의해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잘리고 사향고양이만 갖고 있는 특별한 효소 덕분에
특유
의 맛과 향이 덧입혀진다.그래서 다른 동물이 소화하고 배설한 커피에서는 루왁 커피와 같은 맛과 향을 낼 수 없다. 말콘 교수는 루왁 커피의 맛과 향을 “젖은 흙에서 나는 향기, 곰팡이 냄새, 초콜릿 향이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향이다. 반면 캐러웨이라는 식물의 씨앗에서 추출한 방향유의 주성분인 (+)카본은 향신료
특유
의 알싸한 향이다. 캐러웨이 씨앗을 뿌려 구운 호밀빵의 향을 생각하면 된다.서로 거울상인 점만 다를 뿐인데, 그 향에서 이처럼 큰 차이가 난다. 감귤류의 주성분인 리모넨은 좀 더 미묘한 차이가 난다.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끊기는 것은 물론 국가 소속의 망원경을 사용하는 일도 힘들어졌다. 하지만 미국인
특유
의 프런티어(개척자) 문화가 죽어가는 세티 연구를 살렸다고 쇼스타크 박사는 지적했다.그는 “미국인들은 영웅을 탄생시키는 일에 큰 관심을 둔다”며 “위험과 실패를 감수하는 사람에 대한 우호적인 문화가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최 박사는 처음부터 해낼 수 있다는 막연한 자신감이 있었다. "수학자는
특유
의 끈질긴 근성이 있어요. 엔지니어로서 이런 성격은 강점이 되죠. 어려운 수식으로 도배한 어지러운 논문도 꿋꿋이 볼 수 있고요. 하하하."그 결과, 최 박사는 영상 융합과 영상 처리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지구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