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지구에 있는 금속 중에 2000℃ 이상의 온도를 견디는 금속은 없어요. 그래서 우주선
표면
에서 열을 흡수한 뒤 우주선 밖으로 빠져 나가는 ‘TPS’라고 하는 재료를 씌워 줘야 해요. 이 재료는 귀환 로켓 전체 무게의 40%, 우주왕복선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답니다.열을 견디거나 조절하는 기술은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휘거나 볼록하게 만드는 이유는 한 가지야. 곡선 구간에서 스케이트날이 얼음
표면
에 많이 닿게 해서 속도를 줄이지 않으려는 거지. 몸을 안쪽으로 기울인 곡선 구간에서 이 스케이트날은 거의 모든 면이 얼음에 닿게 돼. 날이 직선이었다면 곡선에서 앞과 뒤만 닿아 미끄러지기 쉬울 거야. 선수에게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돌아오는 빛을 많이 모야야 한다. 따라서 거울 지름이 커질 수밖에 없다. 거울전체
표면
도 균일하지 않으면 정교한 빛을 얻기 힘들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2008년 10월 세계에서 6번째로 개발한 지름 2m짜리 반사거울은 우주에서 자동차 번호판을 식별할 수 있다. 이 정도면 위성사진으로 남녀를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비타민 C 패치다. 비타민 C 패치는 종이처럼 얇고 구부릴 수 있는 박막형 전지로 만들어져
표면
에 미세 한 전류가 흐른다. 비타민 C는 물에 녹으면 수소원자 를 방출하면서 음전하를 띤다.따라서 비타민 C를 녹인 용액을 피부에 바른 뒤 그 위에 패치를 붙이면 패치가 가진 음극과 비타민 C 사 이에 서로 ... ...
정신적 에너지 보충하는 행위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람이 있었다. 하지만 정작 자신은 그 분노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표면
적으로는 일하기 싫고 무기력하고 살기 싫다는 증상만 나타났다. 상담을 하면서 그는 이윽고 상처를 준 사람들에 대한 분노를 표현하기 시작했다.그 뒤 그는 오물을 다 토해내는 꿈을 꾸었다. 나는 축하할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빠져나가 지 못했다. 그 결과 내부가 용융돼 무거운 암석질은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이
표면
으로 떠오르게 됐다. 가니메 데가 내부 핵의 움직임에 의한 자기장이 존재하는 유일한 위성인 이유다. 반면에 칼리스토는 매우 천천히 물 질이 뭉치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내부의 열에너지가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것을 확산하는 물질인 ‘확산제’와 억제하는 물질인 ‘억제제’가 상호작용해 피부
표면
에 무늬를 만들어 낸다고 생각했다. 튜링은 두 물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반응-확산 방정식을 만들어 1952년 논문으로 발표했다.1988년 영국 옥스퍼드대의 수학자 제임스 머레이는 튜링의 이러한 발상을 ... ...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물체의 길이는 10㎞에 이른다.사진을 본 대다수 누리꾼들은 “큰 유성이나 소행성이 수성
표면
에 충돌한 흔적”이라며 가볍게 보아 넘기는 듯했다. 하지만 일부 누리꾼들은 “툭 튀어나온 것으로 미뤄 보면 유성이 충돌한 흔적이 아니라 큰 비행물체가 불시착한 모습이 분명하다”며 논란에 불씨를 ... ...
2010년 남아공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공기와의 마찰을 줄여 공이 목표지점으로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날아가도록 돕는다. 또
표면
에 우툴두툴한 미세돌기들이 돋아나 있는데, 이 돌기들은 유로2008 공인구였던 ‘유로패스’에서부터 등장했다. 골키퍼가 공을 놓치지 않고 잘 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뿐 아니라 자블라니는 물에도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40μm 정도인 기름방울을 넣자 물과 기름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유리구슬이 기름방울의
표면
으로 이동했다.또 유리구슬이 빼곡하게 달라붙은 기름방울에 자외선을 쪼여 단단하게 만들자 수천 개의 유리구슬이 달린 구조(겹눈)가 완성됐다. 덕분에 하나의 렌즈일 때보다 빛을 모으는 시야각이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