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46년 정도 걸린다. 핵융합 로켓 연료가 중수소와 원자량이 3인 헬륨원자다. 이들은 달
표면
이나 목성 대기에 풍부하다. 때문에 핵융합 방식의 경우, 핵분열보다 연료를 구하기 쉽고 우주에서 재충전도 가능하다. 문제는 기술이 아직 성숙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최대 속도는 광속의 12% 정도로 핵분열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옷인 지의(紙衣)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두 번째 효과는 한지의 마찰력에서 비롯된다.
표면
이 거친 한지 위에 솜을 두면 굳이 누비거나 사이사이를 꿰매 고정하지 않아도 솜이 옷감 안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지 값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절약하려고 글씨연습을 한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되면 천이가 끝나게 된답니다.콘크리트의 균열콘크리트로 지어진 아파트를 보면 건물
표면
에 금이 나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어요. 무너질까 봐 겁이 날 수도 있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콘크리트는 재료 특성 상 원래 금이 가게 돼 있거든요. 콘크리트의 재료인 시멘트는 물을 만나면 ... ...
Part 1. 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또 무거우면 얼음을 누르는 압력이 커져서 얼음이 잘 녹게 돼. 녹은 얼음은 경기장
표면
에 물막을 만들어 마찰력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 봅슬레이 4인승의 경우 무게가 600kg을 넘지만 시속 120km를 훌쩍 넘는 것도 이 때문이야.다만 무거운 봅슬레이는 코너에서 조절이 힘들어 마찰이 많이 생겨. 루지나 ... ...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물체의 길이는 10㎞에 이른다.사진을 본 대다수 누리꾼들은 “큰 유성이나 소행성이 수성
표면
에 충돌한 흔적”이라며 가볍게 보아 넘기는 듯했다. 하지만 일부 누리꾼들은 “툭 튀어나온 것으로 미뤄 보면 유성이 충돌한 흔적이 아니라 큰 비행물체가 불시착한 모습이 분명하다”며 논란에 불씨를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빠져나가 지 못했다. 그 결과 내부가 용융돼 무거운 암석질은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이
표면
으로 떠오르게 됐다. 가니메 데가 내부 핵의 움직임에 의한 자기장이 존재하는 유일한 위성인 이유다. 반면에 칼리스토는 매우 천천히 물 질이 뭉치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내부의 열에너지가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비타민 C 패치다. 비타민 C 패치는 종이처럼 얇고 구부릴 수 있는 박막형 전지로 만들어져
표면
에 미세 한 전류가 흐른다. 비타민 C는 물에 녹으면 수소원자 를 방출하면서 음전하를 띤다.따라서 비타민 C를 녹인 용액을 피부에 바른 뒤 그 위에 패치를 붙이면 패치가 가진 음극과 비타민 C 사 이에 서로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앙리 푸앵카레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냈다. “개미가 거대한
표면
위를 기어갈 때, 그
표면
이 둥근 면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을까?” 그로부터 100년 뒤(2002~2003년)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이것을 최초로 증명했다. 하지만 그는 모든 수학자가 꿈꾸는 필즈상을 거부하고 사라졌다 ... ...
정신적 에너지 보충하는 행위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람이 있었다. 하지만 정작 자신은 그 분노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지 못했다. 그래서
표면
적으로는 일하기 싫고 무기력하고 살기 싫다는 증상만 나타났다. 상담을 하면서 그는 이윽고 상처를 준 사람들에 대한 분노를 표현하기 시작했다.그 뒤 그는 오물을 다 토해내는 꿈을 꾸었다. 나는 축하할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165cm를 넘도록 규정하고 있어. 길이가 길수록 속도를 빠르게 낼 수 있는데 눈
표면
을 누르는 힘이 커져서 마찰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야. 하지만 회전할 때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선수의 힘이 중요해. 활강경기 선수들은 평균210cm의 스키를 쓴다고 해. 스키의 길이가 짧은 스키는 다루기 쉽고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