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0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에 급기야 태양 차단까지…英, 최대 규모 야외실험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구름이 더 많은 태양광을 반사하게 만드는 방식 등이 있다. SRM 기술이 효과를 내면 지구
표면
온도를 일시적으로 낮춰 기후위기의 피해를 줄이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벌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태양광 차단 기술은 예상치 못한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비판을 ... ...
면역 감시망 피하는 암세포 사멸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암세포에서 PD-L1만 골라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아세타졸아마이드는 암세포
표면
에 분포하는 효소인 CAIX에 달라붙어 단백질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고 PD-L1을 세포 안으로 끌고 들어간다. 세포 안으로 들어온 나노 복합체는 비정상 단백질로 인식돼 세포 내 청소 공장인 리소좀에 ... ...
900만km 꼬리 달린 행성…"급속 붕괴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연구팀은 "혜성 꼬리처럼 휘발성 가스와 얼음이 포함됐을 가능성은 낮다"며 "행성
표면
에서 증발한 광물 입자들이 오랜 시간 남아 이런 독특한 꼬리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BD+05 4868 Ab는 서서히 소멸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질량을 잃기 쉽고 질량을 잃으면 중력이 ... ...
2차원 물질 오염 없이 쌓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물질을 활용해 2차원 물질을 지지하는 공정이 널리 활용되지만 PMMA를 제거한 뒤 잔류물이
표면
에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해 불순물이 없는 깨끗한 2차원 물질을 획득하는 과정. GIST 제공 연구팀은 같은 물질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 '반데르발스 힘'을 활용해 이황화몰리브덴으로 ... ...
소화기처럼 불 끄는 배터리로 열폭주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전해액을 배터리에 적용하자 리튬이온배터리의 음·양극 계면 안정성이 높아졌다. 음극
표면
막도 높은 열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발화가 잘 되는 기존 전해액을 난연성 전해액으로 교체 후 가속율열량계로 측정한 결과 하이니켈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 억제 효과가 확인됐다. 배터리 수명도 60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성, 과거엔 따뜻하고 습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풍부한 대기를 형성하고 있었을 당시에는 화성
표면
에 물이 흘렀을 것으로 보았다. 화성
표면
에는 액체 형태의 물이 가로질러 흐른 것처럼 보이는 흔적들이 실질적으로 남아있다. 연구팀은 “화성 전역에 상당한 양의 능철석이 존재한다면 과거 화성은 액체 상태의 물과 이산화탄소 대기를 가진 ... ...
하버드대 로봇벌, 각다귀에게 우아한 착륙법 배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현낙승 미국 퍼듀대 교수는 "비행체의 성공적인 착륙은 충돌 전
표면
에 접근하는 속도를 최소화하고 충돌 후 에너지를 빠르게 소멸시키는 데 달려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는 연구가 진행될 당시 하버드대 마이크로로봇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이었다. 연구팀은 각다귀처럼 긴 ... ...
7m까지 자라는 대왕 오징어, 심해서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보내기 때문에 관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낚싯배 갈고리에 걸려 드물게 바다
표면
에서 발견된다. 심해에서도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를 지금까지 발견하지 못했던 이유는 이 오징어가 바다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사람을 잘 피할 수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 ...
표준연, '한국형 스타링크' 성능 보장할 전자파 측정표준 확립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임피던스 측정표준을 기준 삼으면 다양한 전자파 기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지구
표면
에서 가까운 고도인 200km∼2000 km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6G 저궤도 위성은 3차원 통신의 핵심 인프라다. 미국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가 대표적인 상용화 사례다. 한국도 한국형 스타링크 구축을 위해 ... ...
항암제·난치병 신약 발굴속도 높일 '화합물 도서관' 100배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어렵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물이 아닌 유기용매에서도 안정적으로 분산되는 나노입자
표면
에 DNA와 화합물을 결합시키는 NanoDEL을 개발했다. NanoDEL은 기존 기술로 불가능했던 무수반응이 가능해지는 등 용매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화학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수반응은 수분에 민감한 시약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