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기후위기에 급기야 태양 차단까지…英, 최대 규모 야외실험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구름이 더 많은 태양광을 반사하게 만드는 방식 등이 있다. SRM 기술이 효과를 내면 지구
표면
온도를 일시적으로 낮춰 기후위기의 피해를 줄이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벌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태양광 차단 기술은 예상치 못한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비판을 ... ...
면역 감시망 피하는 암세포 사멸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암세포에서 PD-L1만 골라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아세타졸아마이드는 암세포
표면
에 분포하는 효소인 CAIX에 달라붙어 단백질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고 PD-L1을 세포 안으로 끌고 들어간다. 세포 안으로 들어온 나노 복합체는 비정상 단백질로 인식돼 세포 내 청소 공장인 리소좀에 ... ...
900만km 꼬리 달린 행성…"급속 붕괴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연구팀은 "혜성 꼬리처럼 휘발성 가스와 얼음이 포함됐을 가능성은 낮다"며 "행성
표면
에서 증발한 광물 입자들이 오랜 시간 남아 이런 독특한 꼬리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BD+05 4868 Ab는 서서히 소멸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질량을 잃기 쉽고 질량을 잃으면 중력이 ... ...
2차원 물질 오염 없이 쌓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물질을 활용해 2차원 물질을 지지하는 공정이 널리 활용되지만 PMMA를 제거한 뒤 잔류물이
표면
에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해 불순물이 없는 깨끗한 2차원 물질을 획득하는 과정. GIST 제공 연구팀은 같은 물질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 '반데르발스 힘'을 활용해 이황화몰리브덴으로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KAIST, 범용성 카이랄 나노 페인트 최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KAIST 제공 ■ KAIST는 염지현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의료용 나노 소재
표면
에 카이랄성을 부여해 항암 치료 효과를 높이는 '카이랄 나노 페인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2㎚(나노미터·10억분의 1m) 두께의 바이오 나노 입자에 각각 왼손잡이(L-형)와 오른손잡이(D-형) 구조를 ... ...
[과기원NOW] KAIST-인하대, 광화학 에너지전환의 핵심 '핫홀' 제어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증폭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플라즈모닉 핫홀은 빛이 금속 나노 구조체
표면
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만들어지는 정공이다. 연구팀은 금속 나노 그물망을 차세대 반도체 핵심 소재인 질화갈륨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 핫홀 추출을 촉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헬스토크] 봄철 피부 관리, 팩 오래 붙이면 오히려 건조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3.03
중요하다. 자외선 파장 중 장파장 자외선인 ‘UVA’는 1년 365일 일출부터 일몰까지 피부
표면
에 침투하는 자외선이다. 반면 중파장 자외선인 ‘UVB’는 봄부터 조사량이 증가한다. 피부 건강을 위해서는 UVA와 UVB 두 가지 파장을 모두 차단해야 한다. 자외선차단제는 외출 30분 전 바르고 2~3시간마다 ... ...
[과기원NOW] DGIST, 고용량·고안전성 양극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공극이 형성되며 배터리 성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의 복잡한 도핑이나
표면
처리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초기 활성화 충전 전압을 높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양극재의 구조적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온라인판에 지난달 21일 게재됐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뉴스] 로봇 뱀, 토성의 위성에서 꿈틀꿈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있고 약 35°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올라가야 했지요. 실험 결과 EELS는 고장 나지 않고 거친
표면
을 통과해 곡선을 그리며 움직였어요. 연구팀은 “엔셀라두스를 보다 원활하게 탐사하기 위해 EELS가 얼음 아래에 있는 지하 바다로도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기능을 개선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고 ... ...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메테인을 줄이기 위한 정확한 처방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메테인샛은 지구
표면
에서 반사되는 빛으로 대기권에 있는 메테인을 구별한 뒤 양을 측정합니다. 구글은 위성이 보낸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로 만들 예정이에요. 제작된 지도는 구글 앱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살펴볼 수 있어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음식물 쓰레기 배출, 언제부터 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63.4만 명)우리는 보통 3~4초에 한 번씩 눈을 깜빡입니다. 눈을 깜빡이면 눈물이 빠르게 눈
표면
에 퍼져요. 눈을 건조하지 않고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죠. 그런데 하루 동안 눈을 깜빡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또, 눈을 깜빡이지 않고 얼마나 오래 버틸 수 있을까요 ... ...
[천문학자] 물체를 바라보는 각도의 중요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있던 1500년대 당시 지동설에 따르면,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가장 바깥쪽 투명한 구
표면
에 붙어 있는 별은 움직이지 않아요. 그러면 지구가 도는 것에 따라 우리가 보는 별의 각도가 계속 달라져야 해요. 이렇게 바뀌는 각도를 ‘연주시차’라고 합니다. 그런데 1년 동안 하늘을 계속 쳐다봐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희귀 혈액형과 멘델의 유전 법칙
기사
l
20250415
기존의 O형은 적혈구
표면
의 항원을 만드는 H인자가 있는 혈액형입니다. ...
갈릴레오위성:가니메데,칼리스토
기사
l
20250407
가니메데는
표면
에 달처럼 크레이터가 많은데요. 지구에서 그렇듯이 가니메데
표면
은 이처럼 깍이고 뒤틀린
표면
은 그 아래의 물질이 엑체처럼 흐른다는 뜻이입니다. 이 액체는 아마도 질편한 얼음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끝으로 가니메데의 물리적 데이터 소개시켜드리며 칼리스토로 넘어가겠습니다 목성까지의 거리 ...
갈릴레이 위성특집:이오,유로파편
기사
l
20250316
높습니다. 그래서 생명체가 있을가능성도 높습니다. 유로파의
표면
모습은 얼음이 갈라진것 처럼 보입니다. 얼음
표면
아래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바다의 깊이는 약100Km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유로파의 물리적 데이터 소개시켜드리고 마치겠습니다. 이만총총~. 지름:3,122Km 중력:지구의 0.134 공전주기:3 ...
외계문명의 단계, 카르다쇼프 척도(1~4단계)
기사
l
20250302
있습니다. 첫번째는 지구
표면
에 20%에 달하는 태양열 전지판이 50%에 달하는 효율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지구의 육지는 지구 전체
표면
적의 겨우 30%입니다. 게다가 극지방, 열대 삼림 등을 제외하면 약 18%정도밖에 안됩니다. 따라서 태양열 방법은 불가능 합니다. 두번째 방법은 핵융합 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입니다.(그나마 현실 ...
과일 품종
기사
l
20250225
새콤달콤한 맛을 가지며, 속살이 초록색이다-골드키위열대과일같이 달콤한 맛이 이으며, 속살이 노란색이다-레드키위
표면
에 털이 없으며, 크기는 작고 당도는 높다. 속살은 붉은색 내지는 초록색이다. 이제 이번에는 여기까지 하고 다음번에 몇몇 것들이 생긴다면 번외편을 만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