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포물선이라는 뜻이지요.만약 초점이 수신 기지에 정확히 맞지 않으면 에너지 빔은 지구
표면
에 떨어져 큰 피해를 입힐 것입니다. 이런 위기를 큐티는 어떻게 넘겼던 걸까요? 알고 보면 단순합니다. 큐티는 단지 주인님이라고 여겼던 에너지 전송 장치의 지시를 충실히 따랐을 뿐입니다. 진짜 ... ...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사진에서 보이는 1등성은 적색거성인 베텔기우스다. 지름은 태양보다 700배나 크고
표면
온도는 약 3700℃다. 사진에 보이지 않는 1등성은 오리온의 한쪽 발인 리겔이다. 청색별로 약 1만℃나 돼 오리온자리에 있는 별 가운데 가장 밝다. 오리온자리는 옆에 작은개자리가 있고 앞에 황소자리가 있어, ... ...
토종 '달 지도'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에 있는 호빔천문대의 지름 350mm 반사망원경을 이용해 촬영했다.
표면
지형 확대사진은 아마추어천문가 최승룡 씨가 2003년부터 최근까지 촬영했다.위원회는 120여 장의 디지털 사진 가운데 30장을 골라 모자이크 기법으로 지도를 완성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제작한 정밀 ... ...
보고 만지면 저절로 빠져드는 촉각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낮추고 진동을 줄여 부드러운
표면
을 표현한다”고 설명했다. 넋을 잃고 조이스틱으로
표면
을 쓰다듬는 기자에게 류 교수가 재미있는 말을 한다.“촉각 기술이 상용화되면 가장 먼저 해보고 싶은 게 뭐냐고 사람들에게 물었더니 좋아하는 연예인들의 얼굴을 만져보는 거라고 말했답니다. 촉각은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TIP 커브 벽 50cm 이상 세운 트랙콘크리트 트랙 위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해 얼음으로 덮인
표면
을 만든다. 250m 정도부터는 시속 80~100km의 속도가 나올 수 있게 트랙을 만들고, 결승선에 다다르기 전 100m 정도는 썰매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약간 위로 경사지게 만든다. 커브를 돌 때 봅슬레이에 미치는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템퍼링). 템퍼링을 하면 수분과 휘발성 산이 날아가 풍미가 더욱 좋아진다. 또 초콜릿의
표면
에서 빛이 나고 입 안에서 녹일 때 부드럽다. 완성된 초콜릿 반죽을 온도 20~22℃, 습도 60% 이하에서 틀에 넣어 굳힌 뒤 분리하면 초콜릿이 완성된다. 결정의 구조가 안정할수록 초콜릿이 단단해져 분리가 잘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감촉과 힘을 주고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 번식을 막아준다. 첨가제인 닥풀은 한지
표면
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더한다.질기고 오래 가는 비밀종이에 구멍을 낸 다음 잡아당겼을 때 어느 정도의 힘까지 버티는가를 측정하는 것을 ‘인열강도’라 한다. 높은 수치를 보일수록 질긴 종이가 되는데,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생긴 마찰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스키를 너무 오래 탈 경우 스키
표면
에 흡집이 생기면서 마찰력이 커진다. 체육과학연구원에 따르면 왁싱 방법에 따라 스키 속도가 시속 5km나 차이가 난다.스키나 봅슬레이처럼 경사진 곳에서 내려오는 기록 종목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 ...
‘녹색’ 수소 만드는 인공 잎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인공 잎의 뼈대를 이루는 이산화티타늄만 원래 잎 구조대로 남는다. 이 인공 잎의
표면
에는 렌즈와 비슷한 세포가 모여 있어 햇빛이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든 모두 잡아낼 수 있다.연구팀은 이 인공 잎에 두께 10nm(나노미터, 1nm=10-9m)의 ‘티카로이드’라고 부르는 인공 구조물을 넣는 방식으로 빛을 ... ...
천왕성, 해왕성에 다이아몬드 보물섬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에 발표했다.과학자들은 1981년부터 천왕성과 해왕성
표면
이 다이아몬드로 이뤄져 있을 것으로 추정해왔다. 하지만 같은 조건에서 다이아몬드가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상태를 추정하지 못해왔다. 다이아몬드가 초고압 상태에서 고체에서 액체로,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