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기층을 가진다. 대기 중에는 질소와 소량의 메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표면
에 액체가 존재하고 기상현상이 발생한다. 2008년 2월 13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타이탄에 원유의 주성분인 탄화수소가 지구 전체 석유와 가스 저장량의 수백 배 규모로 존재한다고 밝힌 바도 있다.타이탄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닫힌 곡선을 그린 뒤 곡선을 축소해 나가면 점으로 만들 수 있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의
표면
에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밀레니엄 문제 중 지금까지 유일하게 해결된 문제다.6. 버치와 스위너톤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없다. 이런 경우 두 지하철 노선도를 가리켜 위상이 같다고 한다.푸앵카레의 추측은 구의
표면
에 닫힌 곡선을 그린 뒤 곡선을 점점 축소하면 결국 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데서 시작한다. 만약 어떤 입체도형에 똑같이 닫힌 곡선을 그린 뒤 점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 입체도형은 구와 위상이 같다는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긺과 투명망토를 만드는 일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메타물질에는 금과 같은 금속물질이
표면
에 씌워져 있다. 이를 통해 인위적으로 전자기파인 빛의 굴절률을 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금속물질의 너비가 빛의 파장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투명망토가 작동하려면 금속물질의 너비가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거대한 풍선장어가 어두운 심해를 배경으로 실감나게 헤엄치고 있다.해양 생물들 옆에는
표면
이 울퉁불퉁한 검은 돌이 보인다. 겉보기엔 평범한 돌인데, 사실은 수심 4000m에서 건져 올린 망간단괴다. 망간단괴는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처럼 산업에 필수적인 금속들을 함유하고 있어 ‘바다의 검은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리는 물과 닿는
표면
적을 최대한 넓게 해서 물에 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물의
표면
장력을 최대한 이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금쟁이가 물에 잘 떠 있을 수 있는 또 다른 비밀은 소금쟁이의 다리에 있다. 소금쟁이의 다리는 기름에 젖은 털로 덮여 있다. 물은 같은 물 분자는 잡아당기고 기름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당시 존재하던 어떤 빛보다 강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작은 지점에 모인 빛은 태양
표면
보다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딱딱한 물체에 구멍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오늘날의 레이저 빔 장치의 원형인 셈이다. 1959년 6월 미시간대에서 열린 광학 펌핑에 관한 회의에서 굴드는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바이오촉매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를 시도했다. 금속염환원세균은 세포
표면
에 분포하는 산화환원형 전자전달 효소를 이용해 금속산화물을 환원시킨다. 따라서 이런 미생물을 이용하면 굳이 외부의 전달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무매개체) 미생물연료전지를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분출되면 다른 입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분출돼야 한다. 그런데 쿼크-글루온 수프
표면
에서 바깥쪽으로 분출된 입자와는 달리 안쪽으로 분출된 입자는 수프의 입자와 상호작용해 흡수돼 버린 것. 만일 플라스마였다면 내부를 통과해 반대쪽으로 분출됐을 것이다.결국 중이온 충돌로 쿼크들이 핵자의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호가 착륙해 인류가 최초로 달을 밟았을 때 사실로 밝혀졌다.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인 달
표면
을 뒤뚱뒤뚱 걸어가는 우주비행사들의 모습은 이를 증명했다.카바냐 교수의 궁금증은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1998년 6월 ‘네이처’에 화성에서 사람이 걸음을 걷는 모양새를 예측한 연구를 발표했다.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