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경기장보다 넓다. 허파에 담을 수 있는 공기는 3.5L 정도지만 프랙탈 구조 때문에 엄청난
표면
적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소화관도 마찬가지다. 위나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관의 벽은 수없이 많은 작은 주름으로 이뤄져 있다. 이들 주름의 넓이를 다 합하면 400㎡나 된다.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을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쾅! 우르르 쾅쾅! 하는 소리와 함께 땅이 흔들리고 건물이 무너져 내린다. 사람들은 여기저기서 비명을 지르고 한순간에 도시 전체가 쑥대밭으로 변한다. 전 ... .0이상이다. 지진의 규모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에너지는 32배 증가한다.진원의 깊이지구의
표면
밑에 있는 진원의 깊이를 말한다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어부들이 말하는 문어가 전복을 사냥하는 장면은 놀랍기까지 하다. 문어는 바위
표면
에 강하게 달라붙어 있는 전복을 잡아먹기 위해 전복껍질에 나 있는 호흡공을 막아 버린다고 한다. 전복을 질식시켜 바위에서 떨어지게 한 뒤 알맹이만 빼먹는다는 것이다.문어는 게걸스럽게 먹어대며 빠르게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TIP 커브 벽 50cm 이상 세운 트랙콘크리트 트랙 위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해 얼음으로 덮인
표면
을 만든다. 250m 정도부터는 시속 80~100km의 속도가 나올 수 있게 트랙을 만들고, 결승선에 다다르기 전 100m 정도는 썰매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약간 위로 경사지게 만든다. 커브를 돌 때 봅슬레이에 미치는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옷인 지의(紙衣)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두 번째 효과는 한지의 마찰력에서 비롯된다.
표면
이 거친 한지 위에 솜을 두면 굳이 누비거나 사이사이를 꿰매 고정하지 않아도 솜이 옷감 안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지 값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절약하려고 글씨연습을 한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46년 정도 걸린다. 핵융합 로켓 연료가 중수소와 원자량이 3인 헬륨원자다. 이들은 달
표면
이나 목성 대기에 풍부하다. 때문에 핵융합 방식의 경우, 핵분열보다 연료를 구하기 쉽고 우주에서 재충전도 가능하다. 문제는 기술이 아직 성숙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최대 속도는 광속의 12% 정도로 핵분열 ... ...
‘녹색’ 수소 만드는 인공 잎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인공 잎의 뼈대를 이루는 이산화티타늄만 원래 잎 구조대로 남는다. 이 인공 잎의
표면
에는 렌즈와 비슷한 세포가 모여 있어 햇빛이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든 모두 잡아낼 수 있다.연구팀은 이 인공 잎에 두께 10nm(나노미터, 1nm=10-9m)의 ‘티카로이드’라고 부르는 인공 구조물을 넣는 방식으로 빛을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온도에 따라 미끄러운 정도가 다르다. 피겨스케이팅 때는 안정된 점프와 착지를 위해
표면
온도를 영하 2℃로 하고,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은 큰 추진력을 내기 위해 영하 6℃~영하 7℃로 한다. 경기장 실내는 선수의 컨디션과 관람객을 위해 18℃로 난방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같을지라도 가치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난 해의 1만 원이 올해의 1만 원과
표면
상으로는 같은 금액일지 모르지만, 실질적인 가치는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돈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가치가 낮아지는 속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물가는 일반적으로 예전보다 오르는 ... ...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사진에서 보이는 1등성은 적색거성인 베텔기우스다. 지름은 태양보다 700배나 크고
표면
온도는 약 3700℃다. 사진에 보이지 않는 1등성은 오리온의 한쪽 발인 리겔이다. 청색별로 약 1만℃나 돼 오리온자리에 있는 별 가운데 가장 밝다. 오리온자리는 옆에 작은개자리가 있고 앞에 황소자리가 있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