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난 다음에는 액체 상태 용매의 빈 공간이 모두 용질의 분자에 의해 채워지고, 용질
표면
의 분자들은 더이상 확산해 나갈 공간이 없어지므로 더이상 녹지 않는다. 이를 ‘포화됐다’고 한다. 생명과학 Q1. [민감성, 정교성] 영국의 과학자인 제임스 러브룩이 1970년대에 제안한 ‘가이아 가설’은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뤄져 있다. 비누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 비누는 물속에서 독특한 구조로 배열된다. 물
표면
에서는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물 안쪽을 향하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이 바깥쪽을 향한다.물에서 비누의 배열은 와 같다. 비눗물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비누가 물에 녹아 무수히 많은 미셀을 형성해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새로운 메커니즘은 아데노신이라는 신호분자가 관여한다. 즉 침의 자극을 받은 세포의
표면
에서 아데노신이 만들어지면 A1R이라는 수용체가 이를 감지해 진통효과를 인다는 것. 흥미롭게도 A1R은 카페인에도 반응한다. 따라서 A1R이 이미 카페인과 합돼 있다면 아데노신이 만들어져도 붙을 자리가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LCD회로와 PDP패널 공정에도 쓴다. 또 플라스마의 높은 에너지 특성을 이용해 물질의
표면
을 가공하거나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도 이용한다.3. 어디에 있어요?서울대 원자핵공학과는 핵융합과 플라스마 공학을 연계한 커리큘럼을 갖고 있다. 물리학과에서도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을 다루는데,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쉽다. 지구 적도 상공 정지궤도의 한 점에서 지상으로 케이블을 늘어뜨리면 언제나 지구
표면
위에 수직으로 솟아있는 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있다. 정지궤도인 3만 6000km 상공은 지구의 중력과 원심력이 똑같아지는 고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3만 6000km 보다 높은 곳에 중력을 상쇄할 수 있는 무게추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좋지 않게 됐다. 문제는 갓 포장한 서킷의 아스팔트에서 나온 기름막이 빠지지 않고
표면
에 남아 도로를 미끄럽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경기를 마친 한 드라이버는 “마치 얼음판 위에서 달리는 것 같았다”고 표현했다.이 드라이버의 말처럼 세이프티 카가 빠져나가고 경기가 경쟁 모드로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또 바다나무좀 같은 해양천공충류와 미생물들이 셀룰로오스 성분을 갉아 먹어 유물
표면
에 구멍을 송송 낸다. 결국 마도 선박의 유물들은 진흙에 묻힌 덕분에 바닷물과 산소, 바다생물로부터 지켜질 수 있었다는 얘기다.해가 뉘엿뉘엿 넘어갈 때 쯤, 해저에서 작업하던 잠수부들이 바지선으로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말했다. 치아의 생장선은 상아질과 에나멜에 칼슘이 쌓이면서(석회화) 생긴다. 치아
표면
에 연속적으로 나열된 생장선의 개수를 세고 그 사이의 너비를 재면 치아가 자란 속도와 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영구치에는 출생 때의 생장선이 남아 있어 몇 살에 죽었는지도 알 수 있다.그 결과 연구팀은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역전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지자기장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고 에너지 하전입자가 지
표면
에 도달하는 것을 막 아주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 고 에너지 하전입자는 지자기장에 의해 경로가 바뀌어 지구를 비껴가거나 밴 엘런대에 모인다. 이러한 하전 입자가 공기 중의 질소 혹은 산소와 충돌하면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해부학적으로 경락을 찾으려는 봉한학설 [토끼 방광
표면
에서 발견한 관. 소광섭 교수는 이 관이 경락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봉한학설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