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화가 자신을 그린 자화상은 드물었어요. 당시 거울은 크기도 작고 볼록해서, 볼록한
표면
에 비친 모습을 평평한 캔버스에 옮기는 것이 무척 어려웠죠. 하지만 뒤러는 자신의 모습을 평평한 캔버스에 표현하는 능력을 발휘했어요. 그래서 자화상을 독자적인 분야로 확립한 최초의 화가로 인정받고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표면
이 매끄럽지 않은 과일이나 채소도 깨끗이 씻을 수 있다. 오존수로 매실을 세척하면
표면
에 난 잔털 사이의 미생물을 10% 정도만 씻을 수 있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98%의 세균을 죽일 수 있다. ◀대구경북능금농협의 세척사과 브랜드 ‘껍질째 먹는 안심사과’. 오존수로 세척한 후 개별포장해 ... ...
가장 자세한 달 지형 대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
표면
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했지요.레이저 고도계측기는 레이저를 쏘아 달
표면
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측량하는 기구예요. 이를 이용해 사진에서는 달의 높은 부분은 붉은색으로, 낮은 부분은 푸른색으로 나타냈지요. 이 사진을 이용하면달 탐사선이 어디에 착륙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존시간도 길어진다는 내용이었다.구름 입자는 작을수록 더 햇빛을 잘 반사시킨다.
표면
적이 크고 하늘에 떠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구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정확한 양으로 뿌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쓰는 구름 입자 생성기는 실험실 수준이지만 지구공학에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
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산성이나 염기성에서는 쉽게 변형돼 감염력을 잃는다. 올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 스크립연구소 이언 윌슨 박사팀은 전염성을 좌우하는 신종플루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구조가 1918년 스페인플루바이러스와 거의 똑같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4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바이러스 껍질만 보면 스페인플루바이러스가 91년 만에 컴백한 셈이다. 스페인플루는 단시간에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9년 10월 우주로켓 엘크로스(LCROSS)를 달
표면
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한 뒤 달에 물이 존재한다는 생각은 정설로 굳어졌다. 그 이후 과학자들은 달의 물이 어디서 왔는지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미국 테네시대 지구행성학과 래리 테일러 교수팀은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견했다.콜레라균은 몸속에 들어오면 단백질 독소를 만드는데, 이 단백질 독소는 세포
표면
에 있는 ‘GM1’이라는 당지질을 수용체로 삼아 결합한다. 덱스트란이 GM1과 같은 작용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GM1에 있는 탄화수소 결합과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비행기 앞쪽으로 전자를 방출해 공기와 충돌시켜 플라스마 막을 형성하거나, 기체
표면
에 방사선 동위원소 막을 씌워 방사선으로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러시아의 신형 스텔스 전투기 Su-50이 플라스마 방식을 일부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기법을 최대한 활용하면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않는 떡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일반 떡은
표면
이 거칠지만(1), 굳지 않는 떡은
표면
이 매끄럽다. 잘라낸 단면을 비교해 보면 일반 떡은 미세한 구멍이 제멋대로 나 있지만(2), 굳지 않는 떡은 비교적 커다란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3). 구멍에 수분을 담아 부드러움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