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존시간도 길어진다는 내용이었다.구름 입자는 작을수록 더 햇빛을 잘 반사시킨다.
표면
적이 크고 하늘에 떠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구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정확한 양으로 뿌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쓰는 구름 입자 생성기는 실험실 수준이지만 지구공학에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RNA게놈을 감싸고 있다. 캡시드단백질은 VP1, VP2, VP3, VP4 네 가지가 각각 60개씩 있는데 VP4는
표면
에 노출되지 않는다. 아래는 결정구조로 왼쪽이 구제역바이러스, 오른쪽이 리노바이러스(감기바이러스)로 매우 닮았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지름이 100nm 정도이고 캡시드단백질을 지질막이 감싸고 있는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몇 배나 되는 거리까지 퍼져 하얗고 밝게 빛난다. 코로나의 온도는 100만K 정도로 태양
표면
온도인 6000K도 보다 훨씬 높다. 과학자들은 어떤 기체가 대기 중으로 빠르게 발산할 때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뀐다거나 기체가 저항을 받을 때 생기는 온도 상승 등을 이유로 제시해 왔다.연구팀은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견했다.콜레라균은 몸속에 들어오면 단백질 독소를 만드는데, 이 단백질 독소는 세포
표면
에 있는 ‘GM1’이라는 당지질을 수용체로 삼아 결합한다. 덱스트란이 GM1과 같은 작용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GM1에 있는 탄화수소 결합과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죄기 위해 착용하는옷)는 6kPa을 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속옷의 거친
표면
은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본에서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보통 내의와 부드러운 내의를 2일 동안 입혀 내분비계와 면역계의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부드러움이 떨어지는 보통 내의를 입었을 때 ... ...
가장 자세한 달 지형 대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
표면
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했지요.레이저 고도계측기는 레이저를 쏘아 달
표면
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측량하는 기구예요. 이를 이용해 사진에서는 달의 높은 부분은 붉은색으로, 낮은 부분은 푸른색으로 나타냈지요. 이 사진을 이용하면달 탐사선이 어디에 착륙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
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산성이나 염기성에서는 쉽게 변형돼 감염력을 잃는다. 올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 스크립연구소 이언 윌슨 박사팀은 전염성을 좌우하는 신종플루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구조가 1918년 스페인플루바이러스와 거의 똑같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4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바이러스 껍질만 보면 스페인플루바이러스가 91년 만에 컴백한 셈이다. 스페인플루는 단시간에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9년 10월 우주로켓 엘크로스(LCROSS)를 달
표면
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한 뒤 달에 물이 존재한다는 생각은 정설로 굳어졌다. 그 이후 과학자들은 달의 물이 어디서 왔는지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미국 테네시대 지구행성학과 래리 테일러 교수팀은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비행기 앞쪽으로 전자를 방출해 공기와 충돌시켜 플라스마 막을 형성하거나, 기체
표면
에 방사선 동위원소 막을 씌워 방사선으로 플라스마를 형성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러시아의 신형 스텔스 전투기 Su-50이 플라스마 방식을 일부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기법을 최대한 활용하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