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뤄져 있다. 비누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 비누는 물속에서 독특한 구조로 배열된다. 물
표면
에서는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물 안쪽을 향하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이 바깥쪽을 향한다.물에서 비누의 배열은 와 같다. 비눗물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비누가 물에 녹아 무수히 많은 미셀을 형성해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곡면으로 된 여덟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의 공인구 중 가장 구형에 가깝고
표면
에는 특수한 미세 돌기가 있다. 그 결과 선수가 공을 다루는 데 유리해져 정확한슈팅을 할 수 있다.*오일러의 법칙 : 다면체에서 가 항상성립한다는 것.**공인구 : ...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중 구면기하학은 구의 곡면을 다루는 기하학이다. 지구를 구라고 가정했을 때 지구
표면
에서 두 지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을 생각해 보자. 서울과 샌프란시스코 사이의 항공노선은 평면지도에서는 구부러진 곡선으로 보여 먼 거리를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구본에서 살펴보면 최단 거리임을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리고 부푼 소매는 식용 채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꽃과 풀, 나무는 가까이에서 보면
표면
의 주름이 보일 정도로 자세한 정물화예요. 하지만 멀리에서 보면 이제 막 소년 티를 벗은 젊은 왕자의 초상화가 확실하게 드러난답니다.사계절 시리즈의 마지막 그림인 에는 포도와 포도 잎으로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용체가 동시에 발현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예를 들어 PROP라는 쓴맛 물질이 오면 세포
표면
의 T2R1이 감지해 그 정보를 전달하고, 데나토늄이라는 쓴맛 물질에는 T2R4가 반응한다. 어떤 쓴맛 수용체가 반응하든지 세포는 입안에 쓴 물질이 들어 있다는 정보를 뇌로 보내면 임무 끝이다.연구자들은 각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사이 신호 연결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분자를 구별하는 센서를 만들 수도 있고,
표면
플라즈몬 파를 소용돌이처럼 만들어 그 안에 미세입자를 잡아두는 광학 집게처럼 쓸 수도 있다.3. 어디에 있어요?해외에서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스탠퍼드대,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활발히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소를 섞은 기체를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니켈층에 탄소가 녹아
표면
에 단원자의 탄소막을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셀로판 테이프를 쓰는 방식에 비해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들 수 있어 디스플레이나 반도체 등 산업에 이용하는 데 크게 유리하다. 그 밖에도 실리콘 카바이드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향한다. 이렇게 흐르는 빛이 ‘
표면
플라즈몬’이다. 액티브 플라즈모닉스는 이런
표면
플라즈몬을 원하는 각도와 형태로 자유롭게 조절하는 기술이다. “플라즈모닉스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의 광학 지식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많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돋보기로 햇빛을 모으면 한 점에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표면
장력은 점점 감소한다. 비누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액의
표면
장력을 측정해
표면
장력이 더이상 감소하지 않는 지점을 찾으면 미셀 형성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제시문 (다)를 볼 때, 비누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는 용액 내에 아직까지 큰 입자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액에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펼쳐서 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켜 행성을 비춰 주면
표면
온도를 올릴 수 있다. 행성
표면
이 밝은 색이어서 별빛을 반사하는 비율이 높다면 행성에 어두운 색의 흙을 뿌려 더 많은 빛을 흡수하게 만드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중력이나 기온은 적당한데 물이 없는 행성은 어떻게 해야 할까.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