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스페셜
"
훗날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
IBS
l
2016.10.31
아이디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그래서 더 먼
훗날
에는 그때까지 연구하며 자신이 풀 수 없었던 문제들을 해결해 줄 차세대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이 그의 꿈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생화학 저널’ 10월호에 사탕수수 잎에서 관찰된 특이한 광합성 현상을 보고했다.
훗날
‘C4 광합성(C4 photosynthesis)’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광합성 메커니즘이었다. 올해는 C4 광합성 발견 50주년이 되는 해다. 식물학에 관심이 많지 않은 사람은 C4 광합성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지 못했을 수도 있다.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대한 두려움이 커졌고 결국 ‘인간은 왜 늙을까?’라는 근본적인 의문을 품게 된다.
훗날
메치니코프는 ‘노인학(gerontology)’라는 용어를 만들기도 했다. 본격적으로 노화연구에 뛰어든 메치니코프는 흥미로운 사실을 깨닫는다. 동물의 수명 데이터를 비교하다 포유류가 비슷한 크기의 조류에 비해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부족을 제압하며 규모를 키워 어느 순간 ‘나라’라고 부를 수 있는 조직을 구성했고
훗날
가야를 병합해 덩치를 키웠다. 고구려와 백제의 끊임없는 공격과 간섭에 시달렸지만 마침내 힘을 키워(물론 당나라를 끌어들였지만) 두 나라를 멸망시켰고 신라를 삼키려는 당을 물리쳤다. 박물관의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순간 죽음과 질병, 미움과 질투 등 모든 해악이 사방으로 퍼졌다. ‘판도라의 항아리’(
훗날
‘판도라의 상자’로 바뀜)는 호기심의 백해무익함을 상징하는 문구다. Pandora - Nicolas Régnier 제공 ● 불확실성 보다는 손해 보더라도 확실한 쪽 택해 학술지 ‘심리과학’ 최신호에는 쓸데없는 호기심이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있는데, 당대 이후로 유전되는 걸 막기 위한 조치다. 즉 MRT로 세 부모를 둔 남아가
훗날
자식을 보게 될 때 어차피 미토콘드리아는 정자에 들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MRT에 만에 하나 문제가 있을 경우라도 그 영향이 유전되지 않게 하는 안전책인 셈이다. 아무튼 이런 조치는 MRT를 적용하기 전에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버티고 있었다. 이곳에서 열 명이 넘는 노벨상 수상자가 배출됐다. 1961년 남부는
훗날
노벨상 수상 업적이 된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초전도 현상을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 결과로 이를 바탕으로 피터 힉스 등 물리학자 여섯 명이 1964년 힉스 메커니즘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1958년 MIT 교수로 자리를 옮긴 리치는 RNA가 DNA와 결합할 수 있음을 보였는데, 이는
훗날
DNA칩을 만드는데 출발점이 됐다. 한편 대장균 같은 원핵생물에서 전사로 만들어지고 있는 전령RNA에 리보솜이 줄줄이 달라붙어 번역, 즉 단백질을 만드는 복합체인 폴리솜(polysome)을 규명했다. 다들 생명과학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녹색 화학의 선구자 ‘이브 쇼뱅’
2015.12.25
시스템을 개발했다. 오늘날 화두가 되고 있는 ‘녹색화학’의 선구적인 연구다. 뒤이어
훗날
그에게 노벨상을 안겨주게 될 복분해반응(metathesis) 연구를 진행했다. 복분해반응이란 두 가지 물질이 반응해 서로 성분을 바꾸어 새로운 두 가지 물질을 만드는 과정으로 ‘분자 춤(molecular dance)’이라고도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아니라 바로 폴라드 선장으로 ‘모비딕’을 출간한 이듬해인 1852년이었다. 그는
훗날
폴라드에 대해 “그 섬사람들에게 그는 하찮은 존재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가 만난 사람들 가운데 가장 잘난 척하지 않는 겸손한 사람들이었다”고 회상했다. 한편 영화의 주인공 일등항해사 오언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