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스페셜
"
훗날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년에 이르러 100명이 넘었고 이 가운데 70%가 투석을 받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 다수에게서
훗날
방광암이나 요로암이 발생했다. 벨기에 당국은 정밀조사에 들어갔고 이 과정에서 뜻밖의 사실이 밝혀졌다. 즉 다이어트 약물에서 신장을 망가뜨린 게 한방기가 아니라 광방기(廣防己. 학명 Aristolochia ... ...
휴가는 당신을 얼마나 행복하게 했나요?
2017.09.02
학자들이 있다. 경험 당시에는 즐겁기는 커녕 고생이 많았거나 위험천만했던 일일수록
훗날
떠올리면 ‘특별’하고 재미있었던 일로 추억되곤 한다. 경험은 순간이지만 그 기억은 오래 간직되며 필요할 때마다 꺼내보고 미소지을 수 있는 즐거움 주머니가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생을 사서 하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있는 자식들에게 투자하는 게 번식에 더 이롭다는 말이다. 윌리엄스의 아이디어는
훗날
‘할머니가설’로 이어졌다. 여성의 폐경기가 자식의 자식, 즉 손주를 돌보기 위해 진화했다는 말이다. 부모 둘이 아이를 키우는 것보다 할머니까지 힘을 보태면 아이가 자라 짝을 만날 때까지 살아남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펜으로 도배를 해 돌려주고 이런 과정이 반복돼 끝나지 않을 것 같았다고 회상하고 있다.
훗날
그는 로버츠에게는 오로지 ‘질(quality)’이 중요했다는 걸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로버츠는 여성 과학자 육성에도 앞장섰다. 1952년 MIT에서 칼텍으로 자리를 옮길 때 데려간 여학생은 칼텍 최초의 여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열충격단백질이란 이름을 얻었다.
훗날
Hsp는 열뿐 아니라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단백질이 변형되는 걸 막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린드퀴스트는 Hsp90이라는 열충격단백질을 집중 연구했는데, 특히 1998년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 11년 만에 지구에서 천연두를 추방한 의사 도널드 헨더슨
2016.12.28
역학자 알렌산더 랭뮤어 밑에서 배우며 그가 만든 역학전문요원(EIS) 프로그램에 참여해
훗날
책임자 자리까지 올랐다. 1960년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천연두가 만연하자 WHO는 대책마련에 부심했고 38세의 헨더슨은 스위스 제네바로 파견돼 천연두 퇴치 프로그램을 지휘하게 된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
2016.12.23
먼 상태로 태어났다. 다행히 두 살 때 백내장 수술을 받아 시력을 얻었는데, 이 경험은
훗날
지각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낳게 했다. 브루너는 듀크대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뒤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군 복무 뒤 1945년 하버드대에 자리를 잡았다. 브루너는 시지각(visual perception)이 단순히 눈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만든 수식에 따르면 공룡은 초속 1~3m로 이동하는 느림보로 밝혀져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훗날
정밀한 골격 분석 결과 초속 3~8m로 업데이트됐다. 그의 연구는 사지 손상을 입은 환자들의 재활과 보철기구제작에도 도움을 줬다. 작가인 어머니의 피를 물려받은 알렉산더는 평생 20권의 책을 펴냈는데,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나치 독일과 병합되자 먼저 영국으로 보내졌다. 그러나 부모는 결국 탈출하지 못해
훗날
아우슈비츠에서 생을 마감했다. 나치를 피해 탈출했음에도 독일 여권을 지녔기 때문에 캐나다의 포로수용소로 보내진 쿤은 자유의 몸이 된 뒤에도 유럽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토론토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예일대의 경제학자 허버트 스카프와 함께 물물교환(barter exchange)에 대해 연구했고
훗날
신장이식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됐다. 내쉬와 멀어진 섀플리는 그러나 내쉬가 조현병으로 정신이 무너지는 모습을 지켜보며 안타까워했고 1978년 존 폰 노이만 이론상 심사위원이 됐을 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