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스페셜
"
훗날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쥐가 생태계를 습격한 사연
KISTI
l
2015.04.28
미래는 마이티마우스(Minghty mouse)가 지배하는 쥐들의 천국이 될 것인가? 정확한 답은 먼
훗날
이나 답할 수 있을 테지만, 지금처럼 대형 포유류의 멸종이 가속화된다면 그에 비례해 이 가능성은 더 커질 것만은 분명하다.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사람의 목숨을 구하고 수많은 새들의 목숨을 빼앗았다. 1939년 스위스 제약회사 가이기(
훗날
합병을 거쳐 노바티스가 된다)에서 일하던 뮐러는 1874년 오스트리아의 화학자 오트마 자이들러가 처음 합성한 DDT라는 분자가 강력한 살충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뮐러는 좀 더 효과적인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
KISTI
l
2015.03.31
양육이 가혹했거나 관심 받지 못하고 방치됐을 때에 MAO-A 유전자의 활동이 낮은 집단에서
훗날
반사회성 인격 장애가 나타났던 것이다. 요컨대 반사회성 인격 장애의 발생에는 유전자와 환경이 상호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부모로부터 학대받고 방임 속에서 자라난 어린이는 처음 부딪힌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바이러스(XMRV) 입자가 나오는 장면을 포착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2009년 논문에 실렸다.
훗날
조사한 결과 시약이 바이러스에 오염된 것으로 결론이 나 논문이 철회됐다. - 사이언스 제공 그러나 환호성도 잠시, 이 연구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오기 시작했다. 이들의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당시 그 실험실에는 마크 스토네킹 박사와 대학원생인 린다 비길란트가 있었다.
훗날
둘은 결혼했고 아이도 둘 낳았다. 1996년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였던 마크는 안식년을 맞아 가족들을 데리고 독일 뭰헨의 패보 박사 실험실로 왔다. 패보는 린다와 가끔 영화를 같이 보곤 했다. “어느 밤 내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그것을 밝혀냈다는 점에 있다.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레나르트는
훗날
자신이 X선을 발견하지 못한 것을 매우 애석하게 생각했으며 뢴트겐이 논문에 자신의 도움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고 한다. 물론 레나르트도 음극선을 관 밖으로로 끌어내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유전자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염기 180개(아미노산 60개)로 이뤄진 부분이 존재했다.
훗날
‘호메오박스(homeobox)’라고 명명된 이 부분은 표적이 되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에 달라붙어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파리는 호메오유전자 8개가 3번 염색체에 나란히 배열돼 있는데 놀랍게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결과라는 해석이 우세했다. 즉 항원을 만난 항체들은 거기에 맞게 구조가 변형돼
훗날
같은 항원을 만나면 바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에델만은 항체의 인식과정이 학습이 아니라 선택임을 밝혔다. 즉 우리 몸에는 유전자재조합으로 이미 수백 만 종의 항체가 존재해 외부 항원이 침입하면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식었지만 지각이 열을 차단해 내부는 뜨거운 상태로 남아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니까
훗날
언젠가는 지구의 중심도 표면처럼 차가워진다는 의미였다. 1862년 톰슨은 자신의 이론을 토대로 냉각을 설명하는 정확한 방정식을 만들어냈다. 지구의 나이가 2천만~4억 년 사이일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관측된 별의 밝기를 토대로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이른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훗날
최소한 수십 개의 별에서 나온 빛이 합쳐진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이 가운데는 태양 질량의 150~300배인 별이 포함돼 있다는 주장도 여전히 있다. 또 다른 유명한 예는 용골자리 에타(η Carinae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