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스페셜
"
훗날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무리를 발견했다. 그런데 그 숫자가 1000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돼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
훗날
1400여 개로 밝혀졌고 그 가운데 1000여 개가 기능을 하는 유전자이고 나머지는 기능을 잃은 위유전자(pseudogene)였다.) 쥐의 전체 유전자가 수만 개일 텐데 무려 1000개를 냄새 맡는데 쓴다는 건 엄청난 낭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북한군이 매설한 지뢰를 밟아 다리가 절단된 두 병사의 뉴스를 접하며 필자는 이들이
훗날
환지통을 겪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더 무거워졌다. 동시에 우리나라 신경과에서 환지통을 치료하는 곳이 있는지 문득 궁금해졌다. 사고나 질병으로 팔이나 다리를 잃은 사람 가운데 다수가 여전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꺼리는 성향도 있었는데, 심지어 다른 사람이 앉았던 의자에 앉는 것도 불편해했다. 그는
훗날
물리학 지식으로 이를 극복했다고 말하고 있지만, 결국은 타인과의 ‘간접적인 접촉’이 아니라는 깨달음이었다. 오스트리아 빈의 소아과의사 한스 아스페르거는 1944년 발표한 대학교수 자격 논문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역시 구피질(paleocortex)로 불리는 원시적인 뇌 영역이다. 사람의 전두엽 대부분은
훗날
진화한 신피질(neocortex)이지만 속에는 구피질인 후각망울이 여전히 건재하다. 후각이 다른 감각과 다른 특이한 점은 감각정보가 시상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변연계로 들어간다는 점이다. 변연계는 감정과 기억에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95년 이혼하기 전까지 30년 동안 호킹의 곁을 지켰다). 연구에도 더 매진하게 됐다. 호킹은
훗날
자서전 ‘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에서 “나의 장애는 나의 과학 연구에서 심각한 걸림돌이 아니었다.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장점이었던 것도 같다”고 밝혔다. "나는 기본입자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년 코넬대 러시아와 유럽문학 교수가 되면서 나보코프는 인시류 연구에서 손을 놓았는데
훗날
“나는 과학 연구와 강의, 순수문학 그리고 ‘롤리타’를 더 이상 체력적으로 병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고 회상했다. 그의 대표작 ‘롤리타’는 1955년 파리에서 먼저 나왔고 1958년 뉴욕에서 출판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밝혀졌다. 이런 결과들을 접하며 연구자들은 점차 지방이 문제라는 관점을 지니게 됐다.
훗날
저지방 식단으로 이어질 초기 연구들에 돈을 댄 건 미국 낙농업계였다! 이런 와중에 1955년 어느 날 미국 대통령 아이젠하워가 심장발작을 일으켰다. 다행이 바로 회복이 됐는데 이를 숨기자는 참모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살아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혹시 그 전에 죽게 되면 액체질소로 즉시 냉동보관돼
훗날
과학기술이 질병과 노화를 극복하면 부활할 예정이다. 2012년 커즈와일은 64세의 늦은 나이에 구글에 입사했는데(물론 영입된 것이다) 인공지능 관련 연구를 하기 위해서다. 2013년 구글은 칼리코(Calico)라는 이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습득과 공고화만큼이나 망각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동물이 겪는 숱한 경험 가운데
훗날
을 위해 기억해야 할 정도로 중요한 건 얼마 안 되는 상황에서 뇌에 들어온 방대한 데이터를 그때그때 선별해 남겨둘 것만 빼고 없애지 않으면 결국에는 삶을 살아가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아울러 운동은 덜 하고 인터넷은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시기의 건강이
훗날
중년, 노년이 됐을 때 영향을 미친다는 걸 생각하면 걱정스런 현상이다. 장면2. 학술지 ‘네이처’ 6월 29일자 온라인판에는 16쪽에 걸쳐 2016년 10월 13자 논문을 반박하는 서신 다섯 편과 이에 대한 저자들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