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스페셜
"
훗날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5년에서 1666년에 걸쳐 이 급수를 이용해 소수점 아래 열다섯 자리까지 파이값을 구했는데
훗날
“이 계산을 하느라 얼마나 많은 숫자를 썼는지 차마 말하지 못하겠다. 그 사이 다른 아무 일도 할 수 없었다”고 썼다. 흥미롭게도 파이는 무한곱의 형식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먼저 프랑스 수학자 ... ...
내 맘 같지 않은 내 몸, 뚜렛 장애
KISTI
l
2015.10.18
어깨, 몸통 등 신체 일부분을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모습을 보였다.
훗날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그의 이름을 따서 뚜렛 장애로 부르게 됐다. 최근의 기준에 따르면 뚜렛 장애는 여러 가지 근육 틱과 한 가지 이상의 음성 틱이 1년 이상 지속될 때 진단 가능한 틱장애의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열어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신약을 무료로 나눠주겠다고 선언했다. 바겔로스는
훗날
“나는 기적의 신약을 실험실의 선반 위에서 썩혀야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렇게 해서 이버멕틴이 인간의약품(상표명은 멕티잔(Mectizan))으로 다시 태어났다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하면발효 효모에 대해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S. pastorianus)라는 학명을 지었고
훗날
둘은 같은 종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칼스버겐시스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참고로 파스토리아누스는 파스퇴르의 라틴어식 표기다. 유전자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사카로미세스 파스토리아누스가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
2015.06.23
가족의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 오히려 그는 가족 걱정을 연구에 몰두했고,
훗날
이태규의 성과를 놓고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잊으려고 밤낮으로 연구하고 공부한 결과라고 전하고 있다. ■ 예리한 관찰과 끊임없는 노력 ‘리-아이링 이론’으로 그는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와 그의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특정한 세균이 특정한 질병을 일으킨다는 ‘세균이론(germ theory)’의 창시자가 됐고
훗날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다. 코흐는 결핵균 발견 업적으로 190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런데 글 말미에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나온다. 당시 떠오르던 세균이론에 반감을 갖고 있던 막스 폰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지난 5월 23일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한 존 내쉬는 22세 때
훗날
노벨상을 받게 되는 게임이론을 만든 천재 수학자였지만 31세에 정신분열증이 발병해 오랫동안 고생했다. 내쉬의 삶을 그린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한 장면. - 드림웍스픽처스 제공 어느 정도 광기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 위대한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정도로 그의 기준에 충실하게 들어맞는 유능한 신진 작가군이 등장했는데, 예를 들면
훗날
SF문학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로 성장하게 되는 아이작 아시모프도 그중에 하나였다. 젊은 시절의 아시모프. 그는 과학적인 타당성에 기반을 둔 SF 작가였다.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에 더하여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나오면서 MMR백신과 자폐증 관련성이 주목을 받으며 영국의 백신접종률이 급감했다.
훗날
이 논문은 문제가 많은 것으로 밝혀져 2010년 철회됐다. - 랜싯 제공 ● 홍역 후유증도 무섭다 그럼에도 여전히 꺼림칙하다며 “백신을 안 맞아도 홍역에 안 걸릴 수 있고 설사 걸리더라도 사망률이 0.2%에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어떤 식으로든지 경직된 세포벽 대신 유연한 세포내부골격을 지닌 원핵세포가 등장해야
훗날
세포소기관이 될 세균을 잡아먹는 일이(식세포작용) 가능할 텐데 지금까지 그런 원핵세포는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로키아케움에서 액틴 유전자를 비롯해 세포내부골격과 식세포작용에 관여하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