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리
잴리
쩰리
한천
캔디
jelly
d라이브러리
"
젤리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분자 헤쳐 모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김상욱 교수는 자기조립 원리를 이용해 반도체 회로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젤리
처럼 부드러우면서도 고유한 모양을 갖는 연성 소재 중의 하나인 고분자 물질은 입자 여러 개가 모이면 스스로 나노구조를 만드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고분자의 자기조립 과정을 제어하면 손쉽게 반도체 ... ...
볼풀과 원자모델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원자는 전하가 없는 중성이기 때문에, 톰슨은 양전하를 가지고 있는 물질로 이뤄진
젤리
같은 구조에 음전하를 가진 전자가 골고루 퍼져서 박혀있는 원자모델을 제시했다. 이 원자 모델을 ‘서양자두푸딩’(plum pudding) 모델이라고 했다(그림1). 푸딩에 서양자두가 박혀있는 것처럼 전자가 양전하 푸딩 ... ...
우리도 과학의 오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띄어 우주 비행을 위한 훈련을 받고, 최초의 우주견이 되었지. 라이카는 1957년 11월 3일
젤리
형태의 음식과 산소발생기, 온도조절기가 장착된 우주선 스푸트니크 2호를 타고 우주로 떠났어. 비록 우주선의 고열로 인해 몇 시간 만에 죽기는 했지만, 라이카로 인해 무중력 상태에서 온도와 습기만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젓가락으로 저으면서 만들어 놓은 붕사 용액을 조금씩 섞어. 그러면 두 물질이 결합해서
젤리
처럼 굳어지는 것을 볼 수있을 거야. 그것을 꺼내 오랫동안 주물러서 동그랗게 빚으면‘고탄력 탱탱볼’이 완성되는 거지. 이지영 친구도 이런 방법으로 탱탱볼을 만들었는데 170cm 높이에서 ... ...
뭉치면 사는 개구리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해요. 개구리알은 달걀과 같은 단단한 알껍데기가 없어요. 대신‘우무질’이라고 하는
젤리
형태의 단백질에 둘러싸여 있지요. 이 단백질 덩어리는 알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들의 훌륭한 먹이가 된답니다. 물론 개구리의 종류에 따라 올챙이끼리 서로 잡아먹는 무시무시한 ... ...
바닷속 유에프오 해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반투명인‘시네틀’을 비롯한 8종의 해파리가 인공부화에 성공한 것이지요. 사진은 문
젤리
라는 해파리랍니다. 마치 하늘을 나는 유에프오처럼 보이지 않나요? 알, 폴립, 에피라, 메두사라는 특이한 과정을 거쳐 성장하는 해파리는 물의 온도와 흐름에 민감하기 때문에 인공부화에 힘들다고 해요.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누에 실크를 이용해 입증됐다. 농축된 실크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구형체로 된
젤리
형상은 실로 뽑아낼 때 당겨지는 힘에 의해 ‘마이크로 피브릴’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마이크로 피브릴은 실크섬유 내부 미세구조의 기초가 되는 튼튼한 뼈대 역할을 한다.미래 청정화학 방향 제시지금까지 ... ...
개미 눈물만한 액체까지 제어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영화를 보고 있으면‘물방울의 위력’에 감탄하게 된다. 물방울은 개미에게 마치‘
젤리
’와같이 끈적끈적하고 단단한 물체인 것이다. 이처럼 미시세계에서는 물방울같은 유체가 일상생활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갖는다.KAIST 생명화학공학과의 김도현 교수가 이끄는 ... ...
해리포터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어떻게 이런 소재를 과학과 연관시킬생각을했을까싶은구석이많다.“ 너희가 강낭콩
젤리
맛을 알아?”라고 묻는 6장은 호그와트로 가는 기차에서 파는 군것질거리를 통해 맛과 향의 과학을 풀어냈다. 이 아이디어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본 해리포터 관련상품에서 얻은 것이라고 한다.해리포터에 푹 ... ...
늘어진 가지에 담긴 애달픈 사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세포를 붙잡아맬 물질이 필요하다. 이 역할은 ‘펙틴’(pectin)이라는 물질이 하는데, 마치
젤리
같이 말랑말랑하면서도 튼튼하게 접착할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돼 있다. 그래서 봄에 처음 싹이 나와 오래지 않은 나뭇가지는 부드럽고 쉽게 휘어진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펙틴은 차츰 ‘리그닌’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