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말고도 다양한 종류의 당을 발견했어요. 실제로 엿당은 보리에서 추출한 엿기름에서, 젖당은 동물의 젖에서 발견된 당이랍니다. 뉴런 (neuron) 뉴런은 우리 몸 곳곳에 퍼져 있는 신경세포를 뜻하는 단어예요. 뉴런이라는 이름은 1891년, 독일의 해부학자 하인리히 발다이어가 지었어요 ... ...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들어 엿기름을 섞은 뒤, 중탕을 하면 곡물이 삭아요. ‘삭는다’는 건 곡물 속녹말이 엿기름 속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거예요. 그뒤 면주머니에 넣고 꼭 짜면 단물이 나오는데, 이걸 3~4시간 정도 졸이면 조청이 된답니다. 이때 면주머니에 넣기 전 삭은 곡물과 단물이 섞여 있는 것이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쌀 다음으로 많이 먹는 곡식이었지만 요즘은 맥주나 위스키, 엿기름, 고추장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이고 있어요. 보리는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다 자라면 키가 1m 정도 돼요. 다른 맥류, 즉 밀이나 호밀, 귀리에 비해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칼슘, 철분과 같은 무기질과 ... ...
- 피지 사탕수수 기행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차창 밖에서 벌써 단내가 풍긴다. 들쩍지근한 냄새가 마치 식혜를 만드는 과정에서 밥에 엿기름물을 붓고 솥에 끓여 밥알을 삭힐 때 나는 냄새 같다. 공장 입구에는 사탕수수 운반차가 몇 갈래로 갈라진 협궤철로 위에 줄지어 늘어서 있고 옆에는 사탕수수를 잔뜩 실은 트럭들이 대기하고 있다.공장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정월대보름의 풍속 1.기사 l20230205
- 수 있다.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설날에 “도소주와 교아당(膠牙餳)을 올린다.”는 기록이 있는데, 여기에서 교아당은 엿기름으로 만든 엿을 말하며 정초에 이것을 올린다는 것은 곧 엿을 깨물어 이의 강함을 겨루는 우리나라의 의주 세시풍속과 같은 것이다. 한편 일본에서 정초에 ‘齒固め(하가타메)’라는 ‘이 강하게 하기’ 관행이 조정과 재 ...
- 옛날에는 어떤 과자를 먹었을까요?기사 l20210322
- 오늘 제가 설명 할 것들은 엿,강정,약과입니다. 모두 한 번씩은 들어 보셨지요? 그럼 설명할게요! 1) 엿은 곡물이나 고구마 녹말에 엿기름을 넣어 달게 졸인 과자입니다. 엿을 만들 때에 쓰이는 곡식으로는 쌀,찹쌀,옥수수,조 등이 있습니다. 만들 때 호두나 깨, 콩 등을 섞으면 더욱 맛있습니다. 그리고 옛날엔 헌 물건이나 엽전으로 엿 하나를 바꾸 ...
- 엿이나먹어라의 유래는무엇일까?(욕이아니니 오해없으시길 바랍니다..)기사 l20210120
- 담갔다가 ② 이것을 쪄서 밥을 만든다. ③ 이 밥에 물 3L와 엿기름 160g을 넣고 잘 섞은 다음에 60도의 온도로 5∼6시간 둔다. 위 ③에서 엿기름 대신 넣어도 좋은 것은 무엇인가? 당시 보기가 5개 있었다고 하는데, 1번은 디아스타아제, 2번은 꿀, 3번은 녹말, 4번은 무즙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정답은 1번, 디아 ...
- 여름에는 뜨거운 음식, 겨울에는 차가운 음식?기사 l20201219
- 이유 식혜와 수정과는 추위를 이기게 하는 대표적인 음식인데요, 식혜의 주원료인 엿기름은 따뜻한 성질이 있어요. 잣밥을 지어 엿기름과 함께 삭히는 식혜는 소화를 도와 변비에 좋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혈압을 안정시켜주고요, 선조들은 식후에 답답해진 속을 풀기 위해 소화제로 식혜를 만들어 먹었는데, 건강을 생각해 밥을 ...
- 엿은 어떻게 만들까?포스팅 l20201124
- 엿은 아주 달콤하지만 꿀이나 설탕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꿀을 따기 시작한건 삼국사기였고 설탕은 20세기 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인기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우리 조상들이 즐겨먹던 단 음식에는 엿기를이 들어갑니다. 엿기름은 밀이나 보리에 물을 주어 싹이날때 단맛을 내는 성분을 이용한 천연 당분입니다. 기사 아닙니다. 분량이 짧아 여기 올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