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엿기름"(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꿀 VS 조청어린이과학동아 l201602
- 만들어 엿기름을 섞은 뒤, 중탕을 하면 곡물이 삭아요. ‘삭는다’는 건 곡물 속녹말이 엿기름 속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분해되는 거예요. 그뒤 면주머니에 넣고 꼭 짜면 단물이 나오는데, 이걸 3~4시간 정도 졸이면 조청이 된답니다. 이때 면주머니에 넣기 전 삭은 곡물과 단물이 섞여 있는 것이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22
-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쌀 다음으로 많이 먹는 곡식이었지만 요즘은 맥주나 위스키, 엿기름, 고추장을 만드는 데 주로 쓰이고 있어요. 보리는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다 자라면 키가 1m 정도 돼요. 다른 맥류, 즉 밀이나 호밀, 귀리에 비해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칼슘, 철분과 같은 무기질과 ... ...
- 피지 사탕수수 기행과학동아 l200911
- 차창 밖에서 벌써 단내가 풍긴다. 들쩍지근한 냄새가 마치 식혜를 만드는 과정에서 밥에 엿기름물을 붓고 솥에 끓여 밥알을 삭힐 때 나는 냄새 같다. 공장 입구에는 사탕수수 운반차가 몇 갈래로 갈라진 협궤철로 위에 줄지어 늘어서 있고 옆에는 사탕수수를 잔뜩 실은 트럭들이 대기하고 있다.공장 ...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과학동아 l200903
- 당으로 바뀌며 단맛을 내는 식혜가 된다. 식해를 만들 때는 생선에 조밥, 소금, 고춧가루, 엿기름을 섞는데, 생선이 발효해서 생긴 새콤한 맛이, 조밥의 녹말이 당으로 바뀌면서 생긴 달콤한 맛과 절묘하게 어울려 별미로 탄생한다. 식해의 재료로는 명태, 도루묵, 오징어, 가자미 등 여러 가지가 ...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과학동아 l200902
- 역할을 한다. 3) 높은 온도에서 끓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식혜를 끓이는 이유는 엿기름 속에 들어 있는 효소인 아밀라아제의 성분이 단백질이므로 열을 가해 기능을 파괴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밥알이 아밀라아제에 의해 계속 분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 백색광을 프리즘에 ...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803
- 조청이라는 것이 있었어요. 조청은 엿기름을 이용해 쌀의 녹말을 당분으로 바꾼 거예요. 엿기름은 보리에 싹이 트게 한 다음 말린 것이랍니다. 보리의 싹에는 아밀라아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는데, 이 효소가 녹말을 당으로 분해하지요. 아밀라아제는 우리 침에도 들어 있어서 밥을 오래 씹으면 달게 ... ...
- 암석나라 삼형제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14
- 끓여서 굳혀 만든다.빵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오븐에 구워 만든다.엿을 만들기 위해서는 엿기름을 쌀과 섞고 물을 부어 끓여 굳히면 된다.화성암-양초와 엿(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끓이면 새로운 성질을 갖는다)퇴적암-강정(여러 가지 재료가 찐득한 물엿에 붙는다)변성암-도자기와 빵(열을 가하면 ... ...
- 2. 산유국의 꿈 폐기물에서 일군다과학동아 l200210
- 제거했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플라스틱이 녹으면 껌이나 엿기름 같이 끈적끈적한 점도가 매우 높은 물질로 변한다. 이들이 식으면 다시 굳어버리기 때문에 파이프 내벽에 붙기 십상이다. 따라서 파이프 라인을 따라 각 공정을 이동하는 원료는 항상 고온을 유지하고 있어야 ...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과학동아 l200102
- 때 볼 수 있듯이 단백질 구조는 열에 의해 쉽게 바뀐다. 그러니까 식혜를 만들 때에도 엿기름의 효소가 탄수화물을 당분으로 바꾼 다음 끓여야지, 만일 먼저 끓이면 효소의 구조가 바뀌어 제 기능을 잃어버리게 돼 식혜가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효소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1998년 ... ...
- Ⅲ 약 주는 곰팡이: 장맛보다는 곰팡이맛과학동아 l199803
- 가하면 알코올 발효가 시작된다.이에 비해 와인과 맥주의 재료인 각종 과일이나 엿기름(맥아)에는 포도당 성분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전통 주류에 비해 단번에 알코올 발효가 가능하다. 새로운 자연산 단백질현재 지구에서 가장 부족한 영양소를 꼽으라면 우선적으로 단백질을 들 수 있다. 식물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