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과"(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그래서인지 UNIST 개교 초창기에 합류해, 학부장을 맡아 학교에 애정과 열정을 쏟았다. 학과 구성부터 커리큘럼까지 조 그룹리더의 손을 거치지 않은 부분이 없었다. 그는 "열정적으로 학교 일을 하다가 좀 더 연구에 몰두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이 기회를 주었다"고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에 6년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면역학과로 유학을 떠났다. 주변 사람들이 모두 말렸지만, '하고 싶은 것은 하고, 후회는 나중에 하자'는 자신의 좌우명대로 밀어붙였다. 그는 4년간 사라 푹스(Sara Fuchs) 교수의 지도하에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인 ...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위치한 IBM 알마덴 연구소에서 1998년부터 약 20년간 고체물리학과 광학 연구를 해오다 지난해 한국에 왔다. 하인리히 단장은 지난 2012년 철 원자 12개로 저장장치인 반강자성체를 만들고 1비트를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현재의 하드디스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했습니다. 관련 질환 진단 키트도 개발했어요." 이렇게 황 부연구단장은 시스템생물학과 오믹스 기술을 접하게 됐다. 그 뒤 시애틀에 있는 시스템생물학연구소(Institute for Systems Biology)의 리로이 후드(Leroy Hood) 교수 지도하에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는 툴을 ...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등장하는 소절을 논문에 인용한 숫자는 163개에 달했다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5년 출간된 자신의 책 제목을 딜런의 노래 제목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 on Heaven's Door)'로 정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과학자들이 딜런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도 있다. 한 ...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IBS l2016.10.04
- 가운데 1명은 가속기를 활용한 과학적 발견을 통해 그 영예를 안았다. 가속기는 현대 물리학과 기초과학의 최전선이다. 빅뱅 후 일어난 우주의 다양한 현상을 규명하는 것은 물론 암 치료와 신소재 개발 등 의료·산업 분야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첨단 장비이자 연구시설이다. 전 세계 강대국은 더 ...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줄기세포가 어떻게 생겨나고 없어지는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신경과학과 뇌과학에도 초고심도 이미징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워싱턴대, 하워드휴즈연구소의 하나인 자넬리아 연구소(Janelia Research Farm) 등은 고심도 이미징을 뇌과학에 ... ...
- 등골이 서늘해지는 공포영화의 비밀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8.18
- 이런 장면들은 '어둡고 좁은 곳'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영국 허트퍼스셔대 심리학과 리처드 와이즈먼 교수팀은 귀신이 많이 나타나기로 유명한 잉글랜드 햄프턴 궁전에서 참가자 462명에게 이상한 존재가 느껴지는지, 그렇다면 어디에서 느껴지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이상한 존재를 ... ...
- 여름 보양식의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8.18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덥다. 지구 온난화 때문이란다. 지구 온난화는 석탄, 석유, 가스등의 화석 연료사용증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주원인이지만, 먹거리의 측면에서 본다면 지나친 육식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같은 ... ...
- "과학기술의 미래, 기초 연구에 달렸다"IBS l2016.07.05
- 지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의 교육 시스템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의 학과 구조만으로는 연구 트렌드를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훨씬 다양한 형태, 유연한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풀뿌리 연구에 대한 지원이 보장될 수 있도록 연구 보조금의 방향 전환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