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과"(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열공포, 해열제로 해소되나?!KISTI l2015.10.19
-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바이러스 질환인 것이다. 하지만 김진선 조선대 의과대학 간호학과 교수팀이 올해 4월 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부모들의 발열공포는 여전하다. 연구 대상자의 절반이 37.8℃를 발열의 최저기준 체온으로, 38.9℃를 고열의 최저기준 체온으로 잘못 인식하고 ... ...
- [HISTORY] 의사(醫師)들의 독립운동기KISTI l2015.10.13
- 1888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워싱턴의 콜롬비아 대학의 코크란 단과대학 물리학과 야간반에 입학했다. 이곳에서 1년간 공부를 마치고 후원자인 홀렌벡과도 결별을 하게 됐다. 일자리를 찾아 떠난 워싱턴의 미국 육군 의학박물관에서 서재필은 중국과 일본에서 온 의학서적들을 영어로 ... ...
- [COOKING의 과학] 땅 속의 사과, 감자!KISTI l2015.10.04
- 먹는 것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죠. 모두가 어려웠던 옛날에는 무조건 많이 먹는 것이 우선이었지만, 요즘 트렌드는 맛있는 음식을 건강하게 먹는 것입니다. 그런 트렌드를 반영하듯, TV 프로그램에서는 요리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늘어났고, 최근에는 메인 시간대에 편성되면서 대중의 인기를 ... ...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KISTI l2015.09.29
- 때문에 지능이 높은 인류가 진화를 이끈다는 내용이다. 스페인의 마드리드대학 심리학과 연구팀도 지난 2013년, 12~16세 청소년 88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저녁형이 창의력이 높고 귀납추리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우수하다고 발표했다. 귀납추리능력은 개별 사실에서 보편적 법칙을 추리해내는 ... ...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2015.08.18
- 같다”고 해석했다. 그렇다면 코끼리의 후각은 얼마나 뛰어날까. 스웨덴 린셰핑대 생물학과 마티아스 라스카 교수팀은 아시아 코끼리 세 마리를 대상으로 후각능력이 얼마나 정밀한지 연구한 결과를 2012년 12월 학술지 ‘화학감각(Chemical Senses)’에 발표했다.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 ... ...
- Post 2020, 미래 에너지를 준비하는 논의의 장 열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11
- 교수, 정주용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허균영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으로 구성됐다. 이번 출범식에서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좌담회도 개최됐다. 좌담회에는 심준섭 교수를 제외한 9명이 참석하고 김호성 이사장이 좌장을 맡았다. 각 분야의 ... ...
- [COOKING의 과학] 국민 음식 닭고기로 여름나기 KISTI l2015.08.04
- 먹는 것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죠. 모두가 어려웠던 옛날에는 무조건 많이 먹는 것이 우선이었지만, 요즘 트렌드는 맛있는 음식을 건강하게 먹는 것입니다. 그런 트렌드를 반영하듯, TV 프로그램에서는 요리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늘어났고, 최근에는 메인 시간대에 편성되면서 대중의 인기를 ... ...
-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①]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어떻게 탄생했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22
-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시적 자문기구인 위원회는 홍두승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를 위원장으로 인문사회·기술공학 분야 전문가 7명, 원전 지역 주민대표 5명, 시민사회단체 대표 3명 등 15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됐다. 기술적인 요소 이상으로 주민 수용성이 중요한 사안인 만큼 위원들의 ... ...
- 자료실을 연구자들의 휴식처로 탈바꿈시킨다IBS l2015.05.08
- 서비스하는 노력이 더 큰 이유였다. 자료실에서 직접 만나본 신정은 행정원은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고 KAIST 도서관에서 근무했던 경력을 가지고 있다. 충북 음성이 고향인 그는 차분한 어투로 IBS 자료실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 나갔다. 사서 전문지식과 서비스 정신으로 자료실 이용객 급증 ... ...
-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IBS l2015.05.07
- " 2012년 10월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된 이영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가 나노 연구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96년 안식년을 미국에서 보냈을 때였다. 당시 리처드 스몰리 교수와 탄소나노튜브를 대량 합성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연구에 기여했는데, 이 연구성과는 '사이언스'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