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과"(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동아사이언스 l2014.11.24
- 거동, 녹색송파위원회 세미나 자료집, 113-150. 글 : 박종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교수(http://jotra.com), 문화체육관광부 생태관광컨설팅위원장(MP) 사진, 그림 : 박종관 교수 ... ...
- [Green Economy_기업인사이드]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으로 바꾸다! 그린폴동아사이언스 l2014.11.19
- 2013년에 선보였지만 관련 연구는 이미 2008년에 시작됐다. 당시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이분열 교수팀이 그린폴 제조에 매우 중요한 촉매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SK이노베이션 측이 이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게 됐다. 사실 이산화탄소 고분자는 이미 1969년에 합성 가능하다는 것이 ...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1.12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한글은 세계 언어사에 대단히 드물게 과학적이고 독자적인 언어 체계다. 세계 언어순위 목록을 기록하는 에스노로그(Ethnologue) 홈페이지에 따르면 중국어는 12억 명, 스페인어 3억3천만 명, 영어는 3억2천 ...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IBS l2014.10.10
- 197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에 물리학과 학과장('97~'99)과 물리학부 학부장('00~'04), BK21 서울대 물리연구단 단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 2013년 6월까지 고등과학원(KIAS) 원장과 계산과학부 교수직을 수행하였고, 2013년 9월부터 지금까지는 서울대학교 ...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IBS l2014.10.08
- - NIMH 제공 그러나 1990년대부터 뇌과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기 시작했다. 물리학과 화학의 발달로 자기공명화상장치와 뇌 자계 측정기술이 개발되어 메스를 대지 않고도 뇌의 활동을 분석하는 방법이 열린 것이다. 연구자들은 더 이상 이전처럼 피험체의 두개골을 열고 전극을 꽂아 넣을 필요가 ... ...
-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KISTI l2014.09.30
- 있고, 숫자의 크기도 비교할 수 있다는 놀라운 연구가 있다.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팀이 1~3개의 도형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주고 도형이 그려진 개수대로 카드를 정렬하도록 교육했다. 그 결과 비둘기는 교육받았던 1~3개는 물론 4~9까지도 구분하고 이를 정렬할 수 있었다. 세계적으로 ... ...
-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창구, 창조경제타운!동아사이언스 l2014.07.21
- 않았고요. 사이버 상에서 한꺼번에 세 명의 멘토에게 멘토링을 받을 수 있다기에 기계학과 교수님, 디자이너, 생활용품 회사 부장님께 멘토링을 받았어요. 와, 근데 깜짝 놀랐잖아요. 어린아이라서 그냥 무시하실 줄 알았는데 어찌나 친절하게 답변을 해주시는지. 멘토링을 받는 세달 동안 배운 것도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2014.05.29
- 삼다도(三多島). 바람, 돌, 여자가 많아 붙여진 제주도 별칭. 태풍 길목에 놓인 화산섬 특징을 잘 표현한 제주의 멋진 아이콘이다. 여행자들은 이 삼다를 떠올리며 제주를 음미한다. 삼다는 제주 스토리텔링의 핵심 소재다. 사실 ‘삼다’ 말고도 제주 아이콘은 수도 없이 많다. 용천, 곶자왈, 오름, ...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KAIST l2014.05.26
- 프로그래머가 되나요? 많은 전산학과 학생들이 프로그래머가 되는 게 사실이지만 전산학과를 나와서 기획자가 되는 사람들도 있어요. 실제로 제 바로 옆 책상을 쓰는 분도 그렇고요. 어떤 부서에서 일하느냐가 전공에 국한되지는 않아요. 모든 게 자신의 선택에 달렸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
- 과학기술과 경영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KAIST l2014.05.19
- 수강하거나 관련 책들을 읽으며 경영학에 재미를 느꼈던 학생들이라면 기술경영학과에서도 충분히 적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처음에는 복수전공 의무화로 다소 고생은 하겠지만, 졸업 후에는 어디에서나 데려가고 싶어 하는 종합적인 리더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격려의 말을 전했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