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다시 시작했다. 세계가 먼저 알아봤기 때문이다. 실험물리학자인 캐나다 앨버타대 물리
학과
의 제임스 핀폴드 교수는 CERN의 소형 검출기인 뫼달(MoEDAL)을 이용해 자기홀극을 찾겠다고 선언했다. 2013년 봄에 이어 포럼 때 다시 한번 방한한 핀폴드 교수는 "조-메이슨 자기홀극은 뫼달의 주요 목적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
학과
교수연합회 회장 인터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관련
학과
에서 방사선카운슬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신흥대학교 방사선 관련
학과
에 재학중인 사람이나 관련 분야를 희망하거나 종사중인 사람에게는 새로운 직업으로서 주목 받을만할 것 같습니다. 일자리로서 방사선 카운슬러의 전망은 어떤가요? 방사선카운슬러는 공공적 성격이 강한 ... ...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필요하다는 점에는 모든 참석자가 동의했다. 특히 이 날 토론회를 참관한 방사선 관련
학과
학생들의 관심은 뜨거웠다. 참석자 중 한 명은 “막연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방사선카운슬러 교육을 받기는 했지만 막상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는 잘 몰랐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1.6×10-35m) 정도로 확대해야 관측할 수 있다. 이처럼 ‘조용하지 않은 진공’은 양자역
학과
상대성이론이 만난 결과다. 양자역학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는 입자는 필연적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물질이 어느 한 점이 아닌 일정한 영역에 걸친 파동 함수로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발현되는 후성학적(epigenetical) 문제까지 관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 동물
학과
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브라운대에서 분자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흥미롭게도 학부 때부터 DNA 복구에 관심을 갖고 관련 연구에 참여했다고 한다. 학부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공전하는 은하들의 속도가 계산보다 지나치게 빠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당시의 천문
학과
물리학 지식에 따르면 관측된 은하들의 질량만으로는 그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은하들을 붙잡아 둘 수 없었다. 계산과는 달랐지만 명백히 관측된 현상인 이상,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다. 츠비키는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미국 예일대 생명윤리 학제간 센터웬델 월러치 교수와 인디애나대 과학철학사 및 인지과
학과
콜린 알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위치한 서울대에서 만난 임재철 연구원은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었다. 서울대 수의
학과
를 졸업한 뒤 대학원 전공으로 생명과학을 선택한 것이다. "원래 기초과학에 관심이 많았어요. 대학에 입학할 때 생명과학이나 다른 기초과학 전공을 두고 고민을 많이 했는데, 알게 모르게 수의사이신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속을 촬영했다. 이후 X선은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한 속도로 응용되었다. X선이 갖는 과
학과
의학에서의 잠재력을 파악한 노벨상위원회는 1901년 제1회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뢴트겐을 선정했다. 뢴트겐의 X선의 발견이 얼마나 획기적인가는 다음의 설명으로도 알 수 있다. ‘의학에도 몇 번의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네덜란드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의 론 푸히르 교수와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병원생물
학과
요시히로 가와오카 교수는 각각 돌연변이 시킨 H5N1 바이러스를 만들어 같은 공간에서 숨 쉬는 족제비들의 목숨을 빼앗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 실험 결과에 과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까닭은 족제비가 바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