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먹거리
식량
음식
양식거리
먹이
양식
스페셜
"
먹을거리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싸움에서 무기의 우위를 차지했을 것이다. 파란트로푸스의 거대한 턱과 치아는
먹을거리
의 스펙트럼을 넓혔지만, 두뇌 팽창을 막아 똑똑하고 손재주가 좋은 에렉투스에게 결국 무릎을 꿇은 게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이름도 모르는 해조류도 많다. 해조류를 seaweed(바다잡초)라고 부를 정도로 사람이
먹을거리
라고 생각하지 않는 서구인들은 해조류를 즐겨 먹는 동아시아인들을 이상하게 바라봤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시각이 많이 바뀌어 건강식품으로 여기고 특히 김은 간식으로 먹기도 한다지만 여전히 ... ...
[윤석열 정부] "원전 최강국 건설 목표"…재생에너지 투자 줄어드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3.10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력 발전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친환경적 에너지 생산과 미래
먹을거리
확보하고 전 세계에 원전 원천기술도 수출한다. 윤 당선인은 이런 계획에 따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가동원전의 계속운전 등 기저전원으로서 원자력 발전 비중 30%대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경북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예가 비만과 당뇨 같은 만성질환의 만연이다. 달고 기름진 음식에 탐닉하는 성향은
먹을거리
가 들쑥날쑥했던 수렵채취인 시절 생존에 유리하게 진화한 결과이지만 음식이 넘쳐나는 오늘날에는 건강을 망치는 본능이 됐다. 사생활을 지키려는 본능 역시 디지털 시대의 위협은 간과하기 때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는 안 돼도 GEO는 된다?
2021.10.14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로 바뀌므로 이를 덜 만드는 게놈편집 밀은 좀 더 안전한
먹을거리
가 될 수 있다. 최근 영국 정부는 게놈편집 작물 현장 재배 조건을 크게 완화했다. 로탐스테드연구소 제공 ‘하루 커피 한 잔이 사망위험 20% 낮춘다’ 이번 주 월요일자 신문 1면에 실린 기사 제목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 식물 감염하는 세균 이용 그런데 생각해보면 분자농업이 새로운 분야는 아닌 것 같다.
먹을거리
가 아니라 약물(분자)을 얻으려고 식물을 키우는 게 분자농업이라면 진통제 모르핀을 얻기 위해 양귀비를 키우는 것도 분자농업 아닐까. 최종 수확물이 특정 분자일지라도 원래 작물이 만드는 ... ...
'리틀포레스트는 허구?' 도시보다 농촌 비만 더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역설이 이를 증명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도 “도시는 소득이 높고 다양한 문화와
먹을거리
가 있어 변화에 대응하기 쉽지만 농촌은 그렇지 못하다”며 “예를 들어 패스트푸드점이 똑같이 들어가도 도시는 대안이 많지만 농촌은 대안이 없이 그것만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결국 ... ...
[사이언스 지식 in]구제역 감염 소의 우유, 마셔도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06
흔합니다. 이번에 충북 보은에서 발견된 구제역 바이러스도 O형에 속하지요. Q. 당장
먹을거리
부터 걱정됩니다. 구제역에 걸린 소고기, 돼지고기, 먹어도 되나요? A. 안심하셔도 됩니다. 우선 구제역은 가축에서 사람으로 옮는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닙니다. 구제역에 걸린 가축에 접촉한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이들은 가축을 기르기보다 바다코끼리 상아 무역에 힘썼다. 또 목초지보다는 바다에서
먹을거리
를 찾으려 애썼다. 기후변화가 절멸에 영향을 준 것은 맞지만 어리석게도 적응에 실패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결론이다. 연구진은 “그들은 제대로 된 방향으로 갔지만 어쨌든 실패했다”고 밝혔다.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등 지구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뿐 아니라 2050년 지구촌 90억 식구 시대를 맞아
먹을거리
를 확보하는데도 결정적인 기여를 할 전망이다. 1966년 C4 광합성 연구를 이해하려면 먼저 광합성 메커니즘을 밝힌 멜빈 캘빈의 연구방법론을 알아야한다. 시아노박테리아와 녹조류, 식물이 도대체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