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먹거리
식량
음식
양식거리
먹이
양식
스페셜
"
먹을거리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설탕 전쟁의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한다는 것이다. 불행히도 오래전 범국민 쌀 줄이기를 위한 혼식장려운동이 연상되었다.
먹을거리
문제를 이렇게 범국민궐기대회로 해결해야 할까? 좀 더 현명한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스트레스 해결과 에너지 대사를 돕는 설탕 설탕은 단맛을 추구하는 인류의 오랜 친구였다. 설탕이 ... ...
[COOKING의 과학]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
KISTI
l
2015.09.27
아침, 저녁 선선한 바람 속에서 가을을 느낀다. 가을은 무릇 오곡백과의 추수철이라
먹을거리
가 가장 풍부한 계절이지만 이 가을에 딱 먹기 좋은 바닷가 식재료는 따로 있다. 말 그대로 몸집이 큰 새우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대하(大蝦)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새우는 약 90여종에 이르는데,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
KISTI
l
2015.06.09
화학적 구성이나 칼로리, 음식의 변질 여부, 의약품의 진품 여부 등을 가려낸다. 그만큼
먹을거리
의 안전과 건강 등에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레인포레스트커넥션 재단이 만든 불법 벌목 감시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음향 감지 기술을 통해 5분 안에 반경 1km 내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진심으로 12년 평생 가장 슬픈 이야기에요. 제가 사랑하는 이 세상의 엄청나게 많은
먹을거리
들의 유전자가 단순화되고 있다니요. 그러다가 인간 유전자까지 단순해지는 거 아니에요? 좋은 유전자를 가진 아가들만 만들어내면 어떡해요! 인간도 멸종되는 거여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 ...
악어도 감전사시키는 전기漁, 자신은 멀쩡한 이유!
KISTI
l
2013.06.12
하는 생각이요. 살아있는 발전기인 그 녀석들은 대체 어떤 맛일까요?” “그 어떤 것이든
먹을거리
로 끝매듭을 짓는 너의 창의적 태도는 언제나 놀랍고도 신비하구나…. 전기뱀장어와 전기메기는 주로 남아메리카 나일강 근처나 적도 근처 아프리카의 강에서 많이 사는데, 맛이 상당히 좋고 잡는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뇌질환 치료제 하나가 1년에 5~10조 원을 벌어들입니다. 다른 분야와 융합하면 또 다른 ‘
먹을거리
’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1년이라도 빨리 뇌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야 합니다.” 서 단장을 비롯한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은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 뇌연구원 설립을 추진하고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비롯한 각종 위기를 대비해 기술은 확보해야 한다는 것. 또 관련 기술은 화훼류 등
먹을거리
와 관련 없는 식물을 통해 결과를 보여야 한다는 게 라 원장의 생각이다. 그는 “국화나 장미 등을 통해 GM 기술에 투자한 만큼 결과를 보여주면서 식량 부분에 대한 GM 연구는 차분하게 가야한다”며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해도 받아들일 수 있는 여건이 안 되는 상황이다. 박 청장은 “농진청은 국민들의
먹을거리
에 맞춘 연구개발을 하는 게 우선이었기 때문에 산업체 육성보다는 전업농 관련 연구에 더 집중했었다”며 “앞으로는 민간기업에도 필요한 연구 쪽으로 연구개발을 확대해 산업 전체를 키울 수 있도록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놀라운 속도로 경제 발전을 하고 있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가장 먼저 수요가 느는 게
먹을거리
에요. 앞으로 안전하면서도 맛있는 음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텐데 기술력이 없으면 이 수요를 절대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우리의 기술력으로 생산량을 늘리면 이 거대한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만큼 바이오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확신하고 육성에 적극적이다. 생명산업이 미래
먹을거리
라고 확신하는 것이다. 이 도지사는 “충북은 우수한 BT·IT 산업기반이 갖춰져 있고 교통망도 편리해 생명산업이 들어서기에 유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며 “앞으로 국가 바이오산업을 선도해 나갈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