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정"(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열심히 벼농사를 지어봄 '천수의 사쿠나 히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절구에 찧어 껍질을 벗기는 도정도 해야 하죠. 쌀을 얼마나 빻느냐에 따라 현미부터 도정을 거의 완벽하게 한 백미 사이의 쌀을 고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모든 과정을 플레이어가 직접 합니다. 화살표를 누르고 마우스를 왔다 갔다 하면서 말이죠. 게임 배경이 현대였다면 훨씬 수월했을 텐데 ... ...
- [핫이슈] 맛있는 쌀밥 2분 컷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껍질을 벗긴 뒤 시간이 오래될수록 수분이 날아가 건조한 상태가 되기 쉽기 때문에, 도정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쌀이 수분이 많고 맛있지요. 햇반은 품질이 우수한 쌀을 골라,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껍질을 벗긴 당일 바로 밥을 지은 덕분에, 늘 윤기나고 찰기 있는 밥을 먹게 해 줘요. 햇반이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햇반이 만들어지는 생산공정을 볼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도 관람했어요. 보관부터 도정, 선별, 포장까지 전 과정을 낱낱이 살펴보았어요. 스마트 팩토리에선 사람이 아닌 로봇이 데이터를 분석해 스스로 상품을 선별하고 제품을 만들어 눈길을 끌었어요. 음세인 독자 기자는 “햇반 뮤지엄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서울대의 인재상이 어떤지 찾아보고 ‘융복합 인재’라는 키워드에 맞춰서 인문학자인 도정일 경희대 명예교수와 과학자인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맥아는 두줄 겉보리의 싹을 틔운 것을 일컫는다. 싹을 틔우는 이유는 효소 때문이다. 도정하지 않은 보리는 발아할 때 필요한 영양분인 당분을 얻기 위해 녹말을 당으로 가수분해시키는 아밀레이스(amylase) 효소를 만들어낸다. 아밀레이스는 녹말을 엿당(맥아당)으로 분해한다. 여기에 효모를 섞으면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LPG차량 화재 84건 중 약 10%에 해당하는 8건이 역화에 의한 화재였다.연구에 참여한 류도정 한국폴리텍대 부산캠퍼스 자동차과 교수는 “역화는 가스연료를 쓰는 차에서 구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엔진의 4행정은 연료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가 순서대로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덧붙였다.북스힐&이치사이언스가 걸어온 길도 비슷하다. 모내기와 추수를 거쳐 도정을 하고 밥을 짓는 것처럼, 과학전문출판사로 16년 동안 깎고 거두면서 책 한 권 한 권을 만들어 왔다. 출판사 이름을 가장 먼저 알린 것은 ‘대학교재 시리즈’였다. 기자도 학부시절 공부한 ‘써웨이(Serway)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등을 포함한 값인데, 계산 편의를 위해 ‘곡물 소비량 = 쌀 소비량’으로 가정했다. 벼를 도정하면 우리가 먹는 쌀은 평균 73%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점을 감안하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71kg이 된다. 또 여기에 국내 재배 면적 대비 수확량 500kg/1000m2를 적용하면 342m2의 공간이 필요하다. 열차 1칸의 ... ...
- 비상! 영양소가 부족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비만인 사람이 늘어나면서 많은 어린이들이 음식을 너무 많이 먹는 것만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하지만 꼭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한 어린이도 많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식품의약품안전청이 어린이와 청소년 등 6600여 명을 대상으로 식품 섭취량 및 섭취빈도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필수 영양소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알지 못했다.일본에서도 비슷한 발견이 이어졌다. 1884년 일본의 의사 타카키 가네히로는 도정한 백미만을 주식으로 먹는 계층에서 각기병이 자주 발병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일본 해군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해 백미와 각기병 사이의 연관성을 밝혔다. 세계 곳곳에서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