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스페셜
"
모두
"(으)로 총 3,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거의 언제나 3월 21일과 9월 23일이다. 우리를 포함한 동양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24절기가
모두
그레고리력에 정확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도 매년 달력을 새로 인쇄해야 하는 이유는 계절과 상관없이 정해지는 7일 주기의 ‘요일’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달력을 만들어서 국가 권력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유류 최초' 생쥐의 뇌세포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6
뇌 지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연구 그룹이다. 뇌 구석구석까지 모든 기능과 요소를
모두
파악해 인간의 뇌가 어떻게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지 밝히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뇌 구조의 기본 단위인 뇌세포 유형을 분석해 각 세포가 어떤 기능을 갖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이뤄져야한다. 홍쿠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석탄‧천연가스의 연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다시 반응시킨다. 두 공정이
모두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적지 않은 오염을 발생시키는 고온‧고압 공정이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개질 수소의 90%가 암모니아‧요소 생산에 사용된다. 요소의 생산에는 고도의 첨단 기술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직장에서의 인간관계나 친구, 가족, 연인 사이의 관계
모두
우리는 서로 다른 관계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들이 조금씩 다르다. 친구와는 한 없는 끈끈함을 원하지만 직장에서는 어디까지나 함께 일하는 남이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있고 대체로 모든 관계에서 막역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해외 연구자가 '찾아오는' 국제협력해야
2023.11.22
영어가 현대 과학기술의 세계 공용어라는 이유 때문이다. 학술단체가 발행하는 학술지도
모두
영어로 바뀌고 있다. 대부분의 영어 학술지는 유럽의 영리 출판사에 팔아 넘겨진 상황이다. 우리 과학자가 우리 정부의 예산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한 학술논문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관심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제공 우리는
모두
가 자신은 적어도 ‘평균’은 한다고 생각하고 같은 주사위도 내가 던지면 더 원하는 숫자가 잘 나올거라고 생각하는 등 다소 오만하고 착각이 심한 경향이 있다. 이런 착각은 무언가를 배웠다는 느낌에서도 심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특히 어떤 정보가 다소 쉬운 형태로 전달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연구에 집중해야 한다는 정책도 있었다.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우리 학술지’는
모두
버리고 세계어인 영어를 사용하는 ‘국제학술지’가 필요하다는 엉터리 ‘국제화’ 요구도 등장했다. 고위 관료의 인사청문회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가짜‧유사 학술지‧학술회의’ 논란의 단초가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시 대응 방안, 첨단바이오 산업계와의 발맞추기 전략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3개 분과가
모두
참여하는 전체 회의는 분과 수립 후 10년 만에 최초 개최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과학기술컨벤션(ST)센터에서 7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ETRI 컨퍼런스 2023'를 통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있는 치료방법도 기술되어 있다. 인간중심의 사고가 팽배한 르네상스 재건술과 미용수술
모두
여명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조금씩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피부 이식술에 대한 개념이 보편화하고 구순열과 구개열을 치료할 가능성도 커져가고 있었다. 1460년에 폴스포인트(Heinrich von Pfolspeundt)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때 종종 실수가 일어나 Y염색체가 없는 줄기세포가 생긴다. 여기서 분열돼 생긴 세포는
모두
Y염색체가 없다. 나이가 들수록 이런 세포의 비율이 올라가 70세가 넘는 남성 백혈구의 무려 40%가 Y염색체 소실 상태라고 한다. 이런 변화가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 ● 병 주고 약 주고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