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스페셜
"
모두
"(으)로 총 3,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있다. 입시학원의 분석에 따르며 지난 17일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1학년 1학기 휴학생은
모두
248명이나 된다. 2020년의 109명에서 2배가 넘게 늘어난 것이다. 자연계열이 130명으로 52.4%를 차지하고 사범대와 자유전공학부를 아우르는 인문·자연 통합계열도 89명으로 35.9%나 된다. 인문계열과 예체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재현은 두 단계
모두
컬러 이미지를 학습한다(C2C). 한편 사람에서는 없는 상황인 두 단계
모두
흑백 이미지 학습(G2G)과 먼저 컬러 이미지 데이터를 주고 나중에 흑백 이미지를 학습하게 하는 경우(C2G)도 포함했다. 학습이 끝난 뒤 식별 능력을 평가한 결과는 사람과 같은 패턴을 보였다. 컬러 이미지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장점' 발견하면 나도 행복해진다
2024.06.08
말처럼 주변 사람들의 좋은 점을 발견하는 버릇을 들이면 나와 내 주변 사람들
모두
가 행복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사람에게는 다양한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면에 있어 어떤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낫기는 쉽지 않을뿐더러 설령 더 낫다고 해도 "그래서 뭐?"라고 생각해 보면 별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지나지 않았다. 세계 최대의 석유기업인 엑손이 1966년부터 시도했던 30여 차례의 시추는
모두
실패하고 말았다. 필립스사가 6번의 시추에서 실패한 후에야 어렵사리 성공할 수 있었다. 1998년에 시작했던 동해 천연가스전의 경우에도 11번의 시추를 반복해야만 했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는 없는 일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의 둥지에 알 낳는 뻐꾸기, '종분화'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유리한 계통이 새로운 종이 된다는 것이다. 킬너 교수는 “군비경쟁을 하는 두 종
모두
종분화가 일어날 수 있다”며 “진화적 군비경쟁은 새로운 종의 출현을 야기하고 지구의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해결할 수 있으며 기술적 정확성과 수술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와 의사
모두
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 지리적 거리를 두고 로봇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므로 로봇 수술의 장점을 그대로 살릴 수 있고 인접한 건강한 조직에 발생할 수 있는 이차 손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환자 회복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각'의 악순환
2024.06.01
슬프다. 한 가지 다행인 것은 사람의 마음이란 원래 알기 어려운 것이고 따라서 우리
모두
크고 작은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확실성은 애초에 나의 노력 여하에 따라 줄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좀 더 눈치 보기를 잘 하면 소위 사회생활을 잘 하는 사람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
2024.05.22
부족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는 일방적인 주장이 고작이다. “통계와 연구를
모두
검토하고, 현재는 물론 미래의 상황까지 꼼꼼하게 챙겼다”는 주장도 억지였다. 더욱이 정부가 법원에 제출한 자료에서는 의대의 증원 규모를 본격적으로 검토한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는 것이 언론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죽음의 공포가 낯선 것 배척하게 만든다
2024.05.11
겪으며 산다. 그러고 보면 죽음은 모든 인간의 근원적 공통점이기도 한 것이다. 결국
모두
다 죽는다고 생각하면 어딘가 후련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근원적인 공통점 앞에서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는 어쩌면 아주 사소한 것일지도 모른다. 같이 조금씩 죽어가고 있는 입장에서 서로에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학년제'로 변경하도록 대학에 공문으로 '지시'한 것은 명백하게 한계를 넘어선 것이다.
모두
가 듣도 보도 못한 교육부의 새로운 규제가 만들어내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