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스페셜
"
모두
"(으)로 총 3,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인류는 멸망하더라도 과거의 큰 자연변화에서 살아남은 미생물이
모두
멸망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구의 모든 생명체가 멸종하지 않는다면 미생물은 생존할 것임이 확실하다. 사람이 사라진 지구에 외계인이 방문하여 지구의 역사를 조사한다면 “인류라는 종족이 지구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만들자고 하기보다는 나라도 위로 올라가야겠다고 생각한다. 그 결과는 보다시피
모두
가
모두
에 의해 밟히는 사회다. 때문에 나라도 이런 정신적인 신분제와 높은 지위에 대한 선망/동경에서 최대한 멀어져보겠다고 다짐하곤 한다. 위의 연구에서 나타났듯 때로는 도덕적인 문제를 ‘인식’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테트로도톡신 독버섯의 무스카린 야생 감자의 솔라닌 보톨리누스균의 보톨리늄 독소는
모두
천연물이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그렇다고 아스파탐을 무한정 먹어도 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이나 그렇듯이 지나치게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은 걸코 바람직하지 않다. 식약처는 체중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말이다. 하지만 연구자들에게는 예상할 수 있는 혹은 예상치 못한 위험성과 문제점들을
모두
고려하여 진정한 인지증강기술을 찾아내기 위한 ‘빌드업’ 시간을 차근히 밟는 중이다. 그러므로 절대로 어려운 문제를 회피하고 무책임하게 현실과 거리를 두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함께 연구를 시작했다. 이들은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에서 발진티푸스를 연구하던 중
모두
발진티푸스에 걸렸다. 헨리크는 회복되어 발진티푸스가 록키산 열과 마찬가지로 리케차의 한 종류에 의해 발생함으로 알아냈지만 프로바젝은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헨리크는 자신의 이름 대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학위과정에서 작성한 논문의 볼썽사나운 표절 논란으로 끝나버린 송유근의 사례는 우리
모두
에게 적지 않은 아쉬움을 남겼다. 이제 남다른 재능으로 수재‧천재‧영재로 알려진 아이들에게 우리 사회가 더 많은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우리 사회에서 상당한 설득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나이에 따른 타우린의 혈장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생쥐와 붉은털원숭이, 사람
모두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패턴을 보인다. 사이언스 제공 ● 나이 들수록 농도 떨어져 지난주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타우린 부족이 노화의 동인’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실렸다. 인도 국립면역학연구소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봉쇄 기간 동안 야생동물의 이동거리가 증가한 것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모두
있다고 결론내렸다. 좁은 서식지로 내몰렸던 야생동물들의 활동반경이 넓어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동시에 인수공통감염병이 확산될 위험성도 커졌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호 종으로 규정된 퓨마와 같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
2023.05.30
유명한 의사다. 피레네 산맥의 작은 마을에서 제화공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13세에 부모를
모두
잃고 외과의사이던 삼촌에 의해 외과의사로 자라나기 시작했다. 파리 최고라 할 수 있는 디외 병원(Hôtel-Dieu de Paris)에서 수학한 후 해군 군의관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1787년에 미국으로 가는 해군 배를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기억 형성 과정에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증 해소와 에너지 충족
모두
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분이 높은 음료를 마신다고 하면, 마신 이후 갈증은 해소되지 않지만 에너지 충족감만 올라갈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음 번 갈증을 느낄 때에는 그 음료와 관련된 정보를 덜 떠올릴 수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