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스페셜
"
모두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Design] 놀라운 인공물질들
KOITA
l
2015.02.09
다른 한 쪽에서 들어온 총알은 관통시키는 유리다. 말 그대로 상대방의 공격은
모두
막아내면서 이쪽은 마음껏 공격할 수 있다. 물론 자주 쓸 만한 해결책은 못 된다. 이쪽에서 쏘는 총알만큼 방탄유리에 구멍이 나니까. 효과는 놀랍지만 비결은 의외로 간단하다. 일방향성 방탄유리는 단단한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어느 날 북쪽 하늘에서 매일 밤 같은 자리에 있는 별 하나를 발견했다. 다른 별들이
모두
움직여도 그 별만은 항상 같은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밤하늘의 모든 별들이 이 별을 중심으로 돌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북극성이라고 하는 이 별은 하늘에 고정돼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밤에 길을 찾는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풀어야 할 문제가 아주 많단다. 이런 문제를 하나하나 풀어가고, 선생님과 학생, 학부모
모두
서로의 생각을 잘 조율해서 결정해야 하는 부분이니까 너 좋은 대로만 할 수는 없어요.” “아, 몰라요. 일단 저는 자체적으로 9시 등교를 결정할래요. 선생님께 전화하셔서 ‘태연이는 자신의 수면권 ... ...
[Tech&Design] ‘특별하게 이상한’ 자동차들
KOITA
l
2015.02.02
형태였으며, 1974년 이 차가 출시된 이래 ‘슈퍼카’로 분류되는 차량이라면 거의
모두
가 따르는 디자인 컨셉을 정립했다. 그리고 슈퍼카로 분류되는 차량이라면 자존심 때문에라도 운전자의 편안함 따위는 신경도 쓰지 않는다는 전통도 확립했다. 쿤타치의 디자인은 공기 저항을 낮추는 데는 ... ...
[혁신의 열쇠] ‘십대의 낙관’으로 췌장암 조기진단에 성공하다
KOITA
l
2015.01.26
만들었다. 1997년 미국 메릴랜드에서 태어난 잭 안드라카(Jack Andraka)가 그 주인공이다.
모두
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일에 낙관으로 도전한 그는 1년 반이라는 시간 만에 값싸고 간단한 종이센서를 개발했다. 안드라카가 췌장암에 관심을 갖게 된 건 그가 13세 때였다. 자신을 아끼던 아버지 친구가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있는 음성 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운동기능과 함께 언어 기능마저
모두
상실한 중중장애인의 경우에는 세상과 완전히 단절된다. 의식은 살아있지만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일명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에 속해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게 되는 셈이다. 척추 손상, 일명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KAIST와 한양대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장애인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의 모습.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1980년대 이전 개봉됐던, 많은 영화를 보면 그 ...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에서 개발한 노약자를 위한 상지 보조기. 각종 센서와 제어장치
모두
직접 개발했다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소리의 주파수별 정보에 따라 각 채널에 전달되는 전기펄스를 생성한다. 이런 장치를
모두
붙이고 다니다 보니 상당히 거추장스럽고 전원 관리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정밀도 역시 사람의 청각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 1만5000개의 유모세포를 겨우 16~22개의 전극으로 대신하기 때문이다. ... ...
[기술이 바꾼 미래]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인터뷰 “사소한 불편을 참지 마라"
KOITA
l
2015.01.20
이런 실험을 반복해 전반적인 음색을 차례로 개선해 나갔다. “일단 각 주파수 음을
모두
제거하기 위해 헬름홀츠 캐비티 한 무더기를 선풍기 기둥에 넣었어요. 높이가 5피트(152.4cm)에 달했죠. 그리고 한 번에 하나씩 장치를 제거하며 소리 변화를 녹음하면서 음색을 개선했습니다.”그는 “이러한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않으셨을까. 재미있게도 임 연구원의 남동생 역시 현재 수의대에 다니고 있다. 삼부자가
모두
수의학을 전공한 것이다. 임 연구원은 "졸업을 앞둔 남동생이 아버지의 길을 이을 예정이라, 상대적으로 심적 부담이 적었다"고 말한다. 아버지는 물론 어머니도 그가 원하는 연구를 계속 하도록 지원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