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허리가 잘록하고 구부러진
더듬이
를 가졌지만 흰개미는 허리가 두루뭉술하고 곧은
더듬이
를 가졌어요. 개미의 날개는 별 무늬가 없지만 흰개미는 방향성 있는 무늬가 있지요.”닥터고글은 흰개미가 바퀴벌레와 친척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공개했다. 흰개미와 바퀴벌레는 약 2억 년 전에 같은 ... ...
달팽이와 눈 맞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개와 작은
더듬이
2개를 달고 있다.
더듬이
는 달팽이의 시각, 후각, 촉각 기관이다. 특히 큰
더듬이
끝엔 둥글고 검은 눈이 붙어있다. 그 눈이 나를 응시하는 것 같다. 사실 달팽이는 내 얼굴을 흑백으로 인식한다. 색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달팽이에게 다가가고 싶어 손끝을 갖다 대면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주변 환경의 색과 비슷하게 바꾼다. 자신의 몸을 숨기려는 방어 전략이다. 반면 수컷은
더듬이
가 쭉 뻗었고 다리도 길다. 특히 두 날개도 정상이다. 날개는 낙엽색으로 표면에 커피색 문양이 새겨 있다.암컷 겨울자나방은 왜 비행을 포기했을까? 비행(飛行)이란 사랑을 찾아나서는 과정이다. 암컷 ... ...
전자현미경 속 삼라만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MPC)마치 연꽃 안에 불꽃이 피어오르는 것 같지 않나요? 사실은 토고숲모기의 겹눈과
더듬이
가 있던 자리를 찍은 거랍니다. 연화화생은 연꽃이 만물을 다시 탄생시킨다는 뜻으로 불교에서 나온 말이에요. 만물이 연꽃에 의해 탄생할 때 불꽃이 먼저 뿜어 나온다고 해요. ▲외계인 / 류윤정(서울 ... ...
시골 곰개미의 도시 탐색기 내 친구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사람옷에 붙는 일이 많은데, 짙은 갈색에 광택이 나지. 5~10월에 활동하고 알록달록한
더듬이
를 갖고 있어. 뒷다리의 넓적다리마디에 톱날 모양의 가시가 나 있어서 ‘톱다리’, 배 중간이 홀쭉해서‘개미허리’란 이름이 붙었어. 긴 이름에 다 이유가 있다구! 처음부터 내 뒤를 따라온 친구가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더듬이
로 암컷인지 수컷인지 구분할 수 있단다. 사람도 남자는 털이 많잖아? 수모기도
더듬이
에 털이 무지 많지. 모기 애벌레는 장구벌레라고 해. 장구벌레를 처음 보는 친구들이 많을 거야. 거꾸로 헤엄치는 모습이 신기하지?뭐가 궁금하니?우리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많더라. 궁금해 하는 ... ...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금방이라도 물체를 집어 올릴 듯 위압적이다. 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sus)의
더듬이
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485배 확대해 찍었다.튤립입선작·일반부박미향·강원대 식품생명공학과 튤립의 꽃말은 고백. 튤립의 꽃잎이 조심스럽게 입을 열고 말하는 듯하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양파의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무거웠다. 그리고 왼손을 뒤로 돌려
더듬이
를 시키는 대로 움직였다. 그러자 갑자기
더듬이
끝에서 붉은 빛이 쏟아지면서 내 몸 전체를 감쌌다. 가상의 옷을 한 겹 더 껴입은 기분이었다.“T! 이쪽이오.” 집무실이 차려진 입체영상 안으로 걸음을 뗐다. 그 순간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주변 풍광이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꽤 밝혀졌다. 사람과 유전자를 70% 공유하는 초파리는 Antp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더듬이
가 날 자리에 다리가 나온다. 또 보통 초파리의 눈은 빨간색이지만 white 유전자에 이상이 있는 초파리의 눈은 하얀색이다.쥐도 외모를 만드는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부분적으로 밝혀졌다. 일본 구마모토대 ...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떨어진 곳에서도 날아온답니다. 수컷 누에나방은 페로몬을 더 잘 감지하기 위해 정교한
더듬이
를 가지고 있어요. 페로몬은 같은 종의 동물끼리 의사소통과 짝짓기를 위해 방출하는 화학물질입니다. 무리지어 사는 곤충들에게 페로몬은 자신이 누구인지 증명하는 신분증과 마찬가지예요. 지금까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