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나비와 나방의 차이가 무엇일까. “
더듬이
끝이 두꺼워지는 것이 나비이다. 나방은
더듬이
끝이 가늘고 날개에 비해 몸통이 크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나비와 나방을 구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는 신교수의 설명이다. 나비 다니는 길이 있다8일(목). 대원들이 식사를 마치고 시원한 복장으로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굴은 여러 마리의 일개미들이 머리를 모아 지키기도 한다. 바깥일을 보고 돌아온 동료가
더듬이
로 머리를 두드리면 비켜서서 들어오게 하지만 다른 집안의 개미는 아무리 두드려도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하루도 빠짐없이 날마다 문을 지키는 그들의 봉사정신은 정말 대단하다.인간사회에서 ... ...
생물- 곤충모형만들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겹눈을 만든다.③ 철사를 3㎝가량 자른 후 머리의 아래쪽에 빨대 같은 입을 만들고 짧은
더듬이
를 만든다.④ 역시 3㎝가량의 철사로 다리를 붙인다.⑤ 파일을 잘라 두 쌍의 날개가 등 위에 나란히 접히도록 붙인다.⑥ 끝으로 찰흙주걱을 이용해 배에 체절 무늬를 새긴다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서식지인 수초군락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육상곤충의 우점종은 긴
더듬이
바구미 무당벌레 등이며 대만흰나비 네팔나비 십자무늬 노린재 등도 많이 관찰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90종이 관찰됐는데, 이는 1990년의 1백 4종에 비해 감소된 것이다.이러한 이유는 한강 유역이 체육시설 등 ... ...
생물- 동물 골격 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4-5일 가량 담근다.2 머리 가슴과 배부분을 분리시킨 후 속의 내장과 근육을 제거한다.
더듬이
와 다리 속의 근육질은 해부침 등을 사용해 제거한다.3 흐르는 물로 충분히 씻고 완전히 건조시킨다.4 철사를 새우속에 들어 갈 수 있을 만큼 적당히 잘라 나프탈렌 가루를 묻힌 솜을 씌운다.5 4의 것을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만나게 되면 서로 상대방의 뱃속사정을 물어본다. 이때 개미들은 머리 끝에 달린 한쌍의
더듬이
로 서로의 뜻을 전달한다. 배고픈 개미가 있으면 배부른 개미는 많은 양분이 섞여 있는 자기의 침을 토해서 배고픈 개미에게 준다.그러나 이러한 영양교환에는 또다른 복잡한 의미가 있다. 개미의 침은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실잠자리상과 청실잠자리상과 물잠자리상과가 있다.잠자리의 머리에는 3~7마디의 짧은
더듬이
가 있다. 커다란 눈(複眼)은 반구상으로 부풀어 올라 1만~3만개의 낱눈으로 구성된 겹눈과 정수리에 3개의 홑눈이 발달돼 있어 먼 곳을 잘 볼 수 있다. 막대기 끝에 앉아 있던 깃동잠자리가 갑자기 날아 올라 ... ...
떡갈나무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자주 발견되는데, 야행성(夜行性)으로 불빛에 잘 모여든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더듬이
가 길지만 체구는 작다. 성충은 참나무류의 나무껍질을 갉아 먹으며, 애벌레도 살아있는 나무속의 목질부를 씹어먹는 하늘소과의 대표적인 해충이다. 애벌레는 나무속에서 살며 번데기가 되기까지 지역에 따라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더듬이
의 모양으로 구분하면 틀림없다. 나비의
더듬이
는 끝이 곤봉처럼 굵고 나방의
더듬이
는 실 빗살 깃털 모양을 하고 있다. 이밖에 나비는 낮에 활동하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큰 데 비해 나방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등불을 잘 찾아 들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나비는 인간에게 ... ...
아라크네의 자식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몸을 가지고 있으며 앞부분인 두흉부와 뒷부분인 복부에 네쌍의 다리가 있고 날개나
더듬이
는 없다. 모든 거미류중에서 (전갈과 진드기 등을 포함한다) 거미는 가장 수도 많고 종류도 다양한데 약 4만여종이나 되며 이들 모두는 남을 약탈하는 포식생물이다.거미에겐 흉부에 거미줄을 만드는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