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수컷은 응답을 보낸 암컷에게 다가가 가짜 신호를 보낸 포투리스 암컷이라는 것을
더듬이
로 확인한 다음 사랑을 나눈다.암컷의 성 페로몬을 이용, 수컷을 유인하는 또 다른 예는 볼라스 거미에서 찾을 수 있다. 볼라스 거미는 끈적끈적한 거미줄을 한데 뭉쳐 공처럼 만들어 곤충을 잡는 돌팔매로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
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까마귀자리 근처에는 곤충의
더듬이
모양을 한 천체가 있다. 이
더듬이
천체의 정체는 놀랍게도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현장이라고 하는데…웬만큼 별이 보이 ... 한다. 스치듯 지나갈지 정면으로 충돌할지는 잘 모르지만. 물론 먼 훗날의 얘기지만,
더듬이
은하의 일이 남의 일 같지 않다 ... ...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타고난 영매다. 급기야 콜 시어는 자신의 선생님에게 ‘말
더듬이
’라고 외치는 장면에서 자신의 육체에 유령을 불어넣는 능력도 보여준다. 영매로 따지면 1백년에 한번 태어날까 말까하는 천재적인 재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영매를 ‘무당’이라 부른다.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사라진 것일까. 다리는 6개가 아니라 셀 수 없을 정도다. 아니 어느 것이 다리인지, 또는
더듬이
인지 잘 모르겠다. 단지 사진 왼쪽에 머리가 연상되는 부분에 먹이를 운반하거나 땅을 팔 때 쓰는 강력한 턱이 주둥이처럼 나와있고 몸통 부분이 실제 개미의 타원형 배를 닮았다.우연히 개미를 닮은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연기는 바람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중간중간 끊어지는 모양이 된다. 연구팀은 나방이
더듬이
를 움직이는 것은 바람에 흩날리는 굴뚝 연기처럼 냄새와 깨끗한 공기의 불연속적인 냄새의 파동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사람도 냄새를 맡을 때 코를 킁킁거림으로써 냄새의 파동을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방을 예로 들면, 나방의
더듬이
부분에는 두가지의 간단한 센서가 있는데 박쥐가 내는 초음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센서는 멀리 있는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해 그 초음파가 날아오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날아가는 행위를 취하게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은하(NGC 4038/4039)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끔직한 우주교통사고의 현장이다.
더듬이
는 이런 와중에 뛰쳐나온 물질이 이룬 모습이다.우주에 사는 에스키모우주에서 가장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는 성운에는 여러종류가 있다. 성운은 색깔도 다채롭지만 모양도 다양하다. 성운은 별과 별 사이에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Titanus giganteus)도 길이로만 본다면 챔피언급. 몸통만 해도 골리앗큰뿔꽃무지와 비슷하며
더듬이
를 더하면 더 크다. 이 곤충들의 이름도 크기를 강조해 성경에 나오는 거인 골리앗과 그리스신화의 거인 신(神)인 티탄, 기간테스를 따서 지었다.길이만으로 따졌을 때 가장 큰 곤충은 1995년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반응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쓰임새는 가히 짐작할 수 없을 만큼 무궁무진하다.
더듬이
와 함께 곤충의 대표적 감각기관 가운데 하나인 눈을 생각해보자. 파리의 눈은 7백50개에 달하는 얇은 렌즈가 벌집 모양으로 모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보는 범위가 정해져 있다. 만약 장애물 사이를 ... ...
아름다운 나비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뒷날개 전연이 겹치도록 고정하면 된다. 특히 전시할 때는 곤충바늘로 조심스럽게
더듬이
를 펴고, 배를 솜이나 삼각지를 이용해 받쳐 놓아야 한다. 전시가 끝나면 각각의 나비에 라벨을 붙여 언제, 어디서, 누가 잡았는지 기록해 둔다. 차례로 잡은 나비를 전시한 후 2-4주간 벌레와 먼지가 없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