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구리를 빨아먹는 킬러 애벌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대해 알아내고는 무려 382번이나 관찰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70%에 달하는 애벌레들이
더듬이
와 턱을 움직이며 개구리와 두꺼비를 유혹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 유혹에 걸린 개구리와 두꺼비들이 애벌레에게 접근해 스스로 먹이가 된다는 거죠.스스로 개구리를 유혹한다는 거야? 대단한데? 좀 더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중심부에 삼각형 모양의 이마가 있고 그 아래로 이마방패가 있으며 이것은 두 개의 짧은
더듬이
를 연결한다. 그 아래 윗입술과 큰 턱이 있고 그 사이에 보통 이가 있어 식물의 잎을 씹어 먹을 수 있다. 어른벌레가 됐을 때는 식물의 잎을 먹는 것이 아니라 꿀을 빨거나 핥아먹어야 하므로 입의 형태도 ... ...
놀라워서 깡충! 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종류에 따라 눈이 퇴화되어 2, 4, 6쌍의 눈을 가질 수도 있다.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더듬이
다리는 거미에게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먹이의 상태를 판단하거나, 짝짓기 때 생식기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거미는 4쌍의 다리를 갖고 있으며, 신체는 머리가슴과 배 부위로 나누어진다어때? 거미가 곤충과는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검은색을 띠며 각 마디마다 주황색의 돌기가 나 있다. 머리는 검은색이며 머리 양옆에
더듬이
처럼 생긴 긴 돌기가 나 있다.]먹이에서 얻은 독으로 몸을 보호더 ‘독한 놈’들이 있다. 한반도 전역에 많이 살고 있으며 아름답고 화려한데다 농작물을 전혀 해치지 않아 한때 국접(國蝶)으로 논의됐던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정상적인 기관이 몸의 엉뚱한 곳에서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인 안테나페디아(오른쪽)는
더듬이
자리에 다리가 달려 있다. 왼쪽은 정상 초파리.]안테나페디아뿐 아니라 멀쩡한 기관이 엉뚱한 자리에서 나타나는 다른 돌연변이체도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변이가 생긴 결과임이 알려져 있었다.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다. 머리 바로 뒤쪽 몸 안에 숨어 있다가 살짝 건드리면 등이 터지면서 빨갛거나 노란
더듬이
모양의 냄새뿔이 솟아나 적을 향해 공격 태세를 취한다. 냄새뿔은 자극을 받으면 혈액을 펌프질해 구조 전부가 뒤집히면서 불쑥 튀어나오는 냄새 방어막인 셈이다. 냄새뿔은 시큼한 썩은 식초 냄새가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약 6.5mm, 타원형에 납작한 몸통을 가졌으며 날개는 없다. 다리는 여섯 개, 커다란
더듬이
와 턱뼈를 가졌다.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를 사람의 몸에 찔러 넣고 배가 빵빵하게 부를 때까지 피를 빨아 먹는다. 다행히(?) 이 주둥이는 가장 가느다란 주사 바늘보다 100배는 가늘어서 하루에 서너번씩 찔러대도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몇 개를 만드는 것에서 멈출 것이다. 그런데 그가 종이 한 장으로 접은 하늘소는 다리와
더듬이
, 집게가 모두 있었다. 다리 끝부분은 마치 실제처럼 둘로 갈라져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로버트 랭 박사의 홈페이지(www.langorigami.com)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2001년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 ...
인기 폭발 꼽등이가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더듬이
도 매력적이죠? 전 메뚜기나 귀뚜라미보다 훨씬 긴
더듬이
를 가지고 있답니다. 이
더듬이
가 눈 역할을 대신 하기 때문에 없으면 방향 감각을 잃으니 조심해 주세요!놀라운 점프력! 저만큼 높이 뛰는 곤충도 없을 걸요? 제 점프력은 키의 10배나 되는 40~50㎝ 정도예요. 어두운 곳에서 제가 뛰는 ... ...
달팽이의 봄소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잠깐! 내 얼굴에 달려 있는 것은 눈일까
더듬이
일까? 정답은 둘 다야! 위에 있는 큰
더듬이
끝에는 눈이 달려 있는데, 내 눈은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암만 구별할 수 있어. “아니 달순씨! 이게 얼마 만이에요…?” 지난 겨울 헤어진 남자 친구이기도 하고 여자 친구이기도 한 달순씨를 만났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