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더듬이"(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름으로 덮여 있어요. 그래서 꽃잎 위에 앉으면 꽃에 이 기름이 살짝 묻게 돼요. 벌은 더듬이 끝 부분에 있는 예민한 후각수용체로 아주 적은 양의 물질도 냄새를 맡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벌이 꽃잎에 남긴 기름 냄새까지 알 수 있답니다. 이 냄새를 확인하면 직접 꿀샘까지 가지 않아도 이미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답니다.열혈대원, 어린이 생태학자가 되다!“쌍살벌 수벌은 더듬이가 나비처럼 말려 있고, 벌침이 없는 게 특징이에요”수료식에서는 지사탐 활동을 통해 꾸준히 관찰한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도 마련됐어요. 벌들의 합창 팀의 현준서대원은 1년 동안 집과 학교를 오가며 ...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먹고 도망가기 바빠 싸움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았지요. 딱 한 번 두 귀뚜라미가 빠르게 더듬이를 부딪쳤는데, 한 번의 펜싱으로 승부가 결정나 버렸어요. “우리 동물행동학자들의 실험이 사실 이래요. 동물 행동은 인간의 뜻대로 되지 않거든요. 동물과 실험 환경을 최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 많은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하늘소들은 더듬이가 주로 일자형으로 막대 모양을 하고 있는 반면, 영양사슴하늘소는 더듬이 끝 부분이 볼록하답니다.이렇게 장수하늘소를 찾기 위해 숲을 탐사하고 알려 주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하늘소를 비롯한 곤충을 징그럽다는 이유로 싫어하고 무서워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하지만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년, 혹은 수억 년이 지나도 형태를 그대로 갖고 있어요. 게다가 썩지 않기 때문에 날개와 더듬이, 털 한 가닥까지 그대로 있지요. 그래서 호박화석은 일반 화석보다 과거의 생물에 대한 더욱더 자세한 정보를 담고 있답니다. 일반적으로 화석은 생물의 사체나 흔적이 진흙과 같은 퇴적물에 덮인 채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다. 무언가의 화학분자를 인식해 먹는 행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종에 따라 더듬이, 다리, 입 등 신체 여러 기관에 미각기관이 있다.문제는 뇌 기능이다. 꿀벌과 대화를 나눌 수 없기 때문에, 꿀을 단순히 생존을 위한 먹이라고 보는지 아니면 ‘달콤한’ 먹이라고 느끼는지 인간은 알 길이 없다. ... ...
- [과학뉴스]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롤리시에 있는 50가구를 방문해 절지동물을 채집했다. 절지동물은 거미, 곤충 등 다리와 더듬이 등 몸에 붙은 부속지가 마디로 된 동물이다. 연구팀은 카펫이나 다락방 등에 얼마나 다양한 절지동물이 살고 있는지를 조사해 소득, 주거환경과 비교했다.분석 결과 소득 수준이 높은 집일수록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속한답니다. 다른 메기들과 마찬가지로 긴 수염을 자랑하지요. 이 수염은 마치 곤충의 더듬이처럼 주변의 먹이나 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해요.또한 저는 주로 늦은 밤에 먹이를 찾아 나서요. 붉은지렁이, 곤충, 해초류 등 동물과 식물을 가리지 않고 이것저것 다 잘 먹는답니다.닥터 그랜마 : 밤에는 ... ...
- [과학뉴스] 개미가 ‘군기’ 잡는 방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배 개미가 피지배 개미에게 도전을 받았을 때 그 허리를 꺾어 저지한다. 마지막으로 ‘더듬이결투(Antennal dueling)’는 지배 개미끼리 서로의 지위를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학술지 ‘미국 자연주의자 ’ 4월 13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돌연변이들은 더듬이 2개가 중간에 붙어서 자라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자라 있었다. 더듬이의 일부가 사라지거나 두꺼워진 사례도 발견됐다. 이 연구결과는 2008년 4월 학술지 ‘화학과 생물다양성’에 실렸다(doi:10.1002/cbdv.200800001).“놀라운 사실은 체르노빌처럼 원전에서 사고가 난 지역뿐만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