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더듬이"(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2기 심화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길고 실 모양으로 가늘어요. 반면 메뚜기아목에 속한 메뚜기는 여치아목에 비해 더듬이가 짧고 굵은 줄 모양이에요. 또 여치아목은 앞다리에 고막이 있고, 메뚜기아목은 배의 첫 번째 마디에 고막이 있답니다.이밖에도 장이권 교수님은 귀뚜라미 암컷과 수컷 구별법을 알려주셨어요. 귀뚜라미 ...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뿔이 없고 수컷보다 크기가 작은 대신 등판 전체에 털이 나 있답니다. 장수풍뎅이의 더듬이는 짧고 끝이 뭉툭하며, 발에는 나무를 잘 타고 오를 수 있게 날카로운 발톱이 있어요. 성충이 되면 참나무에서 나오는 나무액을 먹고 살기 때문에 참나무에서 발견하기 쉽지요. 뒤집어지면 주변에 나무나 ... ...
- 메뚜기 VS 여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비슷하지만 귀뚜라미에 더 가까운 곤충이에요. 메뚜기에 비해 색이 연한 편이에요. 더듬이가 길고 가늘며, 몸통은 통통하고 짧답니다. 또 육식성으로 턱이 발달했으며, 산란관이 길게 뻗어 나와 아주 잘 보여요. 수컷은 앞날개를 비벼서 ‘찌르르찌르르’ 소리를 내지요. 풀숲과 같이 습한 곳을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교류도 유지하고 있지 않다.이럴 때 유추가 필요하다. 나는 전자기 유도체로 된 오른쪽 더듬이를 세우고 환경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다.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소행성대가 존재하고 있다. 소행성은 중력권의 영향 때문에 모이게 마련이다. 하지만 우리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아직 이부근의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한다. 동시에 정찰개미가 동료와 의사소통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의사소통 시간은 더듬이 접촉이 일어나는 순간부터 개미 두 마리가 먹이를 찾아 둥지를 떠나는 순간까지로 정했다. 152번을 실험한 결과 개미들이 시럽이 있던 먹이통으로 직행한 경우가 117번이었다. 반대로 정찰개미가 동료에게 ... ...
- 바퀴벌레는 의외로 깨끗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내밀었더니 정상적인 더듬이를 가진 바퀴벌레보다 반응 속도가 매우 늦었답니다. 즉 더듬이를 손질하지 않으면 후각이 둔해져 주변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이야기예요.말로만 그렇지 어디서나 잘 먹고 잘 살잖아!에헤헤, 저희의 최고 능력이 환경에 대한 적응력 아니겠어요~. 덕분에 약 ... ...
- 귀뚜라미 vs 꼽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위에서 보면 타원형이고요. 더듬이가 몸길이 4배에 이를 정도로 아주 긴데 모든 감각을 더듬이에 의존한답니다. 뒷다리도 길어서 자기 키 10배나 되는 40~50㎝를 뛰어요. 날개가 없어 날지 못하는 잡식 곤충이에요. 습기가 많고 어두운 재래식 부엌이나 화장실에 많이 나타나요. 연가시많은 사람들이 ... ...
- 가을 밭에서 만난 못난이 삼 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8호
- 도대체 누가 내는 거지? 가을 밤의 음악가, 귀뚜라미안녕, 난 귀뚜라미라고 해.어우, 긴 더듬이에 통통한 뒷다리, 너 참 못 생겼다.흥, 그런 실례의 말을! 내가 생긴 건 이래도 얼마나 인기가 많은지 아니? 내 음악실력 때문이지. 네가 흠뻑 빠져 있던 그 소리를 낸 게 바로 나라고.오, 네가 ...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품고 있고요. 수컷의 생식기는 배의 끝부분에 있는데 종마다 다른 모양이랍니다. 참, 더듬이 옆에 있는 기다란 대롱은 나무를 뚫을 정도로 튼튼해요. 수액을 빨아먹는데 쓰거든요.”열띤 설명이 이어지는 도중 동네 초등학생들이 신기한 듯 탐사대쪽으로 오더니 채집한 매미를 가리키며 말매미라고 ...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모습이 비슷합니다. 그중에서도 리틀 배리어 섬에서만 사는 한 자이언트 웨타는 더듬이와 다리를 뺀 몸길이가 10cm에 육박합니다. 이들은 가장 무거운 곤충이기도 합니다. 기록상 가장 무거웠던 웨타는 70g이 넘었습니다. 참새보다 훨씬 더 무거우니 새들도 곤충이라고 함부로 얕보지 못할 겁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