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넥스트 AI] AI 애널리스트의 입사 조건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여러 학계에서 활발하다. 한 예로 알레한드로 로페즈리라 미국 플로리다대 경영대 교수 등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등의 상장 기업 주식과 관련된 5만 여 개의 뉴스 제목을 챗GPT에 제시하고, 각각 해당 기업 주가에 미칠 영향을 ‘좋다(Good)’ ‘나쁘다(Bad)’ ‘모르겠다(Unknown)’ 중 하나로 답하게 하는 ... ...
- [과동키즈] “이제는 직업을 만드는 시대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는 웃으며 답했습니다. 박 연구 수석은 여느 이공계 대학생처럼 박사학위를 받고 교수가 되는 길을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군복무 시절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특정 분야를 깊게 공부하는 학자의 길보다, 더 넓은 눈을 가질 수 있는 시장 쪽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됐죠. 그러던 2019년, ... ...
- 우주에서도 문제 없다!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저장된 모든 정보를 자주 꺼내 보는 것은 아니에요. 최 교수는 “5년 이상 확인하지 않고 장기 보관하는 ‘콜드 데이터’의 비율이 전체의 20~25%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관용 데이터를 DNA로 저장하면 공간도 적게 차지하고, 보관에 필요한 ...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위해 KBO 기록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2015년 이장택 단국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수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KBO 원년부터 2005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수가 1.87이 가장 잘 맞아떨어졌으나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지수가 1.82여야 잘 맞는다고 밝혔다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연달아 있는 두 수의 합이 바로 뒤의 수가 되는 수였습니다. 여기에서 김재희 교수는 힌트를 얻은 거예요.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100 - 7(Fn + 1로 표현할 수 있어요. Fn은 앞에서 언급한 피보나치 수열을 말해요. 예를 들어 F3은 2니까, 토끼 행성과 지구와의 거리 수열의 2항은 100 - 7(2 - 1)로 93이에요. 그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17년 로저 클렘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 신경과 교수팀은 여러 연령대의 쥐를 대상으로 전전두엽피질과 편도체간의 신경회로 특성을 분석했다. 이 중, 사람의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생후 35일된 쥐를 분석해보니 전전두엽피질 뇌세포가 편도체에 있는 억제성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리서치를 거쳐 연세대 수학과 교수로 임용된 후, 2013년부터는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연구 분야는 조합론과 계산수학이며, 램지의 정리에서 R(3,t) 값의 크기 함수를 구해 1997년 풀커슨 상을 수상했다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학자’ 하면 떠올리는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은 17세기 영국의 자연철학자인 아이작 뉴턴이다. 우리는 그를 위대한 과학자로 알고 있지만, 뉴턴은 과학을 넘어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한 지식인이었다. 뉴턴의 새로운 모습을 알아보자. 의혹 1 .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많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환자의 세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건강이 악화되죠. 이 논문을 쓴 싱클레어 교수와 연구진은 유전질환인 A-T에서 시르투인원 단백질이 어떤 후성유전학적 기능을 하는지 밝혔습니다. 시르투인원의 보조효소인 NAD+를 합성하는 전구체와 시르투인원 촉진제를 투여할 때, A-T 세포의 미토파지가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안녕? 나는 달 도서관의 사서 달토끼야. 지구에서 보낸 수많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지. 바로 생물의 유전물질인 DNA의 형태로 말이야. DNA를 활용하면 같은 양의 정보를 다른 저장 장치보다 훨씬 작은 공간에, 더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거든. 너는 어떤 정보를 간직하고 싶어?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