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doi: 10.1101/2023.12.27.573442 신야 시키나 대만국립해양대 해양환경 및 생태학연구소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2011년 2월, 대만 난완만의 해머산호 군락지를 조사하다 깜짝 놀랄 만한 현상을 목격했습니다. 11개군락 중 9개 군락의 산호들이 1년 사이 성별을 바꿨던 겁니다. 산호가 성별을 바꾼다는 사실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의의도 있다. 앞으로 이 천체의 정체를 밝히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 교수는 펄사 타이밍 오차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천체가 블랙홀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모델을 두고 전파 신호가 들어맞는지 확인하고, 중성자별일 때의 모델을 두고 전파 신호가 들어맞는지 계속해서 ... ...
- [과학뉴스] 일본 노토반도에서 규모 7.6의 강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묵호항에서도 높이 0.8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지요. 교토대학교 우메다 야스히로 명예교수는 “노토반도 지하에 고여있던 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하면서 단층이 미끄러지기 쉬운 환경이 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어요. 일본 국토지리원은 “이번 강진으로 노토반도 끝의 ... ...
- [가상인터뷰] 소변이 노란색인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모양의 세포란다. 1월 3일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세포생물학및분자유전학과 브랜틀리 홀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적혈구는 붉은색 아니었어? 넌 왜 노란색이야?적혈구는 만들어진 지 120~140일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분해되면 부산물로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 ...
- 전략의 신 1. 최강 타순인지 알려주는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야구 마르코프 연쇄 모형은 얼마나 정확할까? 2010년 관련 연구가 있었다. 장영재 KAIST 교수팀은 2010시즌 KBO 기록을 바탕으로 어떤 팀이 가장 효율적으로 타순을 짰는지 알아봤다. 먼저 마르코프 연쇄로 모형을 만든 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10년 각 팀의 실제 경기 득점과 모형이 예측한 득점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수의 부자나 사업가가 사용하는 틈새시장을 노리게 될 것”이라 추측했다. 김형진 교수는 “지금 바로 새로운 초음속 여객기 설계를 시작해도 10~15년은 걸릴 것”이라며, 그럼에도 초음속 여객기 연구는 이어지리라 전망했다. “더 빨리, 더 높이, 더 멀리는 인간의 본능적인 호기심이잖아요? ... ...
- OUTRO 탈출 도파민 중독! 도파민 디톡스 앱 사용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장기적인 도파민 디톡스 방법을 물었습니다. 신성만 한동대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교수_코끼리를 생각하지 말라고 하면 곧바로 코끼리를 생각하는 것처럼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소셜 미디어 접속을 자제하고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더욱 소셜 미디어를 생각할 수 있어요. 그땐 도파민 디톡스 앱을 ... ...
- [과학뉴스]노란 소변 속에 숨겨진 장내미생물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4-023-01549-x홀 교수팀은 빌리루빈을 유로빌리노겐으로 전환하는 장내미생물은 모두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갖고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에 따라 연구팀은 다양한 종의 장내미생물을 빌리루빈이 ... ...
- [과학뉴스]2억 8900만 년 전 가장 오래된 피부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오래된 피부 화석이다. 1월 11일, 로버트 리즈 캐나다 토론토대 미시사가 캠퍼스 생물학과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보고했다. doi: 10.1016/j.cub.2023.12.008연구팀은 이 피부의 주인공을 초기 육상 양막류의 일종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비늘로 덮인 모습이 악어 등 현생 파충류와 ...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결과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문제를푸는것 과수학을연구하는것은다른영역이기때문이다.김교수는 “실제 연구에 쓰이는 프로그램들은 복잡한 연구에서 필요한 계산을 빠르게 처리해 주는 프로그램”이라며 “증명과 추론의 과정은 AI에게 맡기는 경우가 없다”고 설명했다. 고차원적인 수학 연구에 사용하기엔 아직 너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