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휴머노이드 로봇의 시대가 올 것이라는 예측 자체에 반대하는 전문가는 없었다. 박 교수는 “미국, 중국 등 다른 나라들은 이제 4족보행 로봇보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연구개발에 더 주목하는 추세”라고 했다. “4족보행 로봇은 이제 산업의 영역이죠. 한국도 어서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를 해야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마르욜레인 다익스트라 네덜란드 우트레흐트대 데브예 나노재료과학 연구소 교수팀은 소시지 재앙 문제를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풀었습니다. doi: 10.1038/s41467-023-43722-0 연구팀은 우선 생물의 세포 내에서 볼 수 있는 막형 구조물인 소포를 거대한 크기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구형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SETI의 첫 학술모임을 가졌습니다. 이때 외계 생명체의 존재 확률을 계산하는 드레이크 교수의 ‘드레이크 방정식’이 발표되면서 SETI의 초석을 다졌죠. 이 연구가 현재의 혹등고래 대화 연구까지 확장된 것입니다. SETI 연구소는 자연적으로 발생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되는 전파를 외계 지적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설명했다. 물 속에서 공기방울이 더 많이 발생할수록 소리가 더 크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미국의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물줄기를 얇게 유지하며, 조심스럽게 부어서 차를 조용히 내주려는 시도를 하는데, 이는 별로 성공적인 접근법이 아닐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물의 온도 또한 물소리에 따라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득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는 일일 것이다. *필자소개 현재환.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 과학사 연구자로, 한국이라는 틀에 갇히지 않는 한국 과학사를 쓰기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다. 저서로 ‘마스크 파노라마’(공저)가 있다. jhwanhyun@pusan.ac ... ...
- [특별한 수학] 달콤짭짤! 맛있는 음식의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저는 어린이들의 식탁을 수호하는 음식의 요정 도너콘이에요.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도넛이지만, 고기, 채소, 쌀밥도 골고루 좋아한답니다! 혹시, 매일 달콤한 과자나 빵만 먹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나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저를 따라오세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별한 수학] 달 ... ...
- [만화뉴스] 햄버거와 아이스크림, 야채보다 더 식욕 당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자극해서 자꾸만 더 먹게 된다는 의견이 많았어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피터 로저스 교수팀은 이런 통념을z 깨는 연구를 2023년 11월 발표했습니다. 성인 224명은 아보카도, 새우 같은 일반 식품과 머핀, 아이스크림 같은 가공식품 사진을 본 뒤 설문 조사에 응했어요. 연구팀은 참가자에게 맛을 ... ...
- 식품 찌꺼기의 변신! 업사이클드 푸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데 사용되고 남은 보리박도 식품 부산물에 속해요.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미정 교수는 “식품 부산물은 대부분 바로 먹기에는 씹기가 어려워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다”며 “식품 부산물을 업사이클해 맛있는 식품으로 만들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업사이클드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교수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컴퓨터 과학을 부전공했다. 교수가 된 이후에도 두 학문에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2016년 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런 점에서 컴퓨터로 소수를 찾는 GIMPS에 자연스레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 어렸을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신문에 올라오면서 수학계가 들썩였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사는 사실이 아니었다. 장 교수는 리만 가설이 아닌 ‘란다우-지겔 영점 문제’를 다뤘으며 이마저도 완전히 증명한 게 아니라, 수학적으로 말하면 ‘약하게’ 증명한 것이었다. 특정 조건에서만 증명이 성립되도록 풀었다는 말이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