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구름과 띠 같은 특징을 더 잘 보여줄 수 있게 사진의 대비도 더 강하게 조정됐다. 어윈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과학자들은 해왕성 사진이 과한 푸른색으로 조정됐음을 알고 있었고, 발표 당시의 사진 설명에도 적혀 있었다”며,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점이 잊혀졌다”고 설명했다. 보이저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 DNA > 정보 밀도: 5.49×1015bits/mm3DNA 저장 방식은 2012년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유전학 교수팀이 실증한 후 계속 연구됐다. 바이오메모리사의 DNA 카드는 처음으로 상용화된 DNA 저장 매체다.DNA 저장 방식은 데이터 저장 밀도가 매우 높다. DNA 1g에 215페타바이트페타바이트는 1000테라바이트)의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만화처럼 로봇과 친구가 될 수 있는 사회는 어느 나라에서 먼저 실현될까? 필자는 이 답이 미국, 한국, 중국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실현될 것이라고 감히 예측한다. 로봇과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선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각각 성장해야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20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남아메리카 대륙과 호주에 연결되고요. 알렉산더 판스워스 영국 브리스톨대 고생물학과 교수팀은 2023년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을 통해 판게아 프록시마가 만들어지면 인류가 멸종할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doi:s41561-023-01259-3 대륙이 충돌하고 합쳐지는 과정에서 태양 에너지가 증가하고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더 가치를 발휘하는 시스템이다.오르카는 2022년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유경인 최고기술책임자(CTO)와 함께 개발한 기술로, 해당 연구는 컴퓨터 시스템 분야 세계 최고 학회로 여겨지는 ‘OSDI 2022’에서 발표됐다. 오르카는 연산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을 잡아낸다. 생성 AI는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 결과가 뜸했던 쌍둥이 소수 추측에서 괄목할 만한 결과를 냈을 뿐 아니라 당시 장 교수가 수학계에서 잘 알지 못하는 수학자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시 나이가 58세로 적지 않았고, 오랫동안 생활고에 시달렸음에도 수학 연구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사연이 알려지며 단숨에 스타 수학자로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1살 미만의 아기 공룡 두 마리의 뒷다리가 들어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젤레니츠키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고르고사우루스가 작은 먹이의 (살이 풍부한 부위인) 뒷다리만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지금까지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의 성체는 일반적으로 거대 초식공룡을 ...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머무르는 시간은 약 4시간으로, 이후에는 소화 기관을 통과해 배출된다. 스리니바산 교수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바입스가 전 세계 보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학기술 연구 전방향에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요즘, 로봇 또한 예외가 아니다. 박 교수의 목표는 앞으로 4족보행 로봇에 “지능을 덧붙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종하지 않아도 로봇이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비전 센서를 이용해 주변 물건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마침내 확인할 기회가 왔다. 카츠 교수와 마이클 봄마리토 미국 미시간주립대 로스쿨 교수의 공동연구팀이 2022년 12월 챗GPT로 미국 변호사시험을 쳤다. 결과는 불합격. 이 챗GPT는 미국변호사시험위원회(NCBE)의 객관식 시험에서 하위 10%의 성적으로 불합격했다. 그로부터 몇 달 후에 공동연구팀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