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30억 살 넘은 블랙홀, 기존 이론 뒤집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설명할 수 없는 거예요. 케임브리지대학교 캐번디시연구소 로베르토 마이올리노 교수는 “이 정도 크기의 블랙홀이 발달하기에는 너무 이른 시기여서 기존 이론과 다른 방식으로 블랙홀이 형성됐을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며 “어쩌면 초기 우주는 가스로 가득 차 블랙홀에게는 뷔페와 같은 ... ...
-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인지 능력을 높일 수 있을까요? 2020년 일본 니가타대학교 보건영양학과 시부야 켄이치 교수는 껌을 씹는 행위가 대뇌에 영향을 미친다고 발표했습니다. 실험 참가자 11명이 껌을 씹은 결과, 1분에 110회씩 씹었을 경우 대뇌 전두엽 근처의 산소량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어요. 뇌의 산소량이 많아졌다는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6년의 연구와 훈련을 통해 다시 걷기 시작했다. 앤이 모니터를 통해 말하기 위해서 창 교수팀은 10년 넘는 선행 연구를 했다. BCI라는 미래를 실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이 누리기 위해서는 가격, 안정성, 편의성 등 여러 측면에서의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이런 고민 너머에서 BCI는 궁극적으로 세상을 ... ...
-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혈당 관리 방법은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혈당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오창명 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급격히 치솟은 혈당을 내리는 데에는 운동이 좋다는 연구가 많습니다. 밥을 먹고 10분 정도 걷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혈당 관리에 좋습니다. 운동의 방식으로는 한 번에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장비 제작자들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스티븐 섀핀 미국 하버드대 과학사학과 교수는 이렇게 드러나지 않은 과학의 기여자들을 ‘보이지 않는 기술자’라 칭했다. 우리는 플로지스톤 이론과 산소 이론의 치열한 경합, 그리고 산소 이론의 최종적인 승리를 기억한다. 그러나 이론들이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사회적 약자인 연구자들을 위해 많은 역할을 해오셨어요. 대학원 학생을 받을 때 다른 교수님들이라면 받을지 고민을 했을 학생들을 1,2년에 한 명 정도는 꼭 받으셨습니다.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출신 학생을 비롯해 신장위구르 지역 학생도 있었죠. 이런 학생들이 한국에서 취직하거나 자신의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과로로 병에 걸리고 죽어 나가는 건 괜찮고? 그게 무슨 발전이야?”마침 술집에서 유 교수가 형의 이름을 불렀다. 형은 신병처럼 목청을 높여 대답하고는 내게 속삭이듯 말했다. “후배님. 조언 하나 하는데, 벌레보다 후배님 앞가림부터 신경 써. 이건 조롱이 아니라 진심이야.” 형은 술자리로 뛰어 ... ...
-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태어난 동물은 체세포를 제공한 동물과 DNA가 99.9% 일치합니다.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장구 교수는 “복제 동물은 원본 동물의 일란성 쌍둥이와 같아 외모는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하다”며 “다만 여러 털 색깔을 지닌 동물을 복제할 경우, 색을 결정하는 요인이 핵 외에 다른 곳에도 있어 털 색이 ... ...
- [숫자로 보는 뉴스] 1초에 몸길이 100배 간다! 물맴이의 수영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드레셀 선수인데, 1초 동안 자기 키의 1.24배만큼을 갔어요. 미국 코넬대학교 크리스 로 교수는 “물맴이가 빠르게 수영하는 비결을 배나 로봇에 적용한다면, 물속에서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을 거예요”라고 말했어요. ●한단계 더~!그동안 물맴이는 다리를 뒤로 밀어내며 수영한다고 알려져 ... ...
- [포토뉴스] 수염고래가 물속에서 소리내는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나갈 때 수염고래 특유의 30~100Hz(헤르츠) 정도의 저음이 발생함도 확인했다. 엘레만스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가 예측한 고래의 발성 주파수 범위와 최대 통신 수심은 70년대 이후 급격히 늘어난 선박 교통 소음의 주파수 범위 및 수심과 완전히 겹친다”며 “고래는 소리에 의존해 ... ...
이전123456789 다음